d라이브러리
"semiconductor"(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과학동아 l2005년 06호
- 사장.•장소: 국제반도체회로학술회의(ISSCC)에서•제목: IT 시대의 반도체메모리(Semiconductor Memories for IT Era).▼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무어의 법칙 지고, 황의 법칙 뜬다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0 ...
- 2. 전기 통하는 플라스틱의 비밀 2010년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등장과학동아 l2001년 08호
- 반도체 특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반도체(semiconducting polymer), 또는 플라스틱 반도체(plastic semiconductor)를 사용하면, 기존의 실리콘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도 싼 가격으로 제작할 수 있다.고분자 반도체의 비밀은 탄소결합플라스틱이 도체나 반도체 성질을 갖기 위해서는 화학 구조적으로 어떤 특징을 ... ...
- Y2K스트레스과학동아 l1999년 12호
- 거쳐 표시된다. 제일 먼저 컴퓨터 내장시계인 RTC(Real Time Clock)와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에서, 그 다음 입출력장치인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에서, 그리고 마지막으로 운영체계에서 연도를 표시한다. 대부분의 응용소프트웨어들은 BIOS나 운영 ...
- 나만의 비밀번호 생체인식시스템과학동아 l1999년 01호
- 등에 내장돼 패스워드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1.5cm X 1.5cm 크기의 CMOS(compli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소자를 이용하는 비광학 스캐너방식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것은 일종의 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접촉 부위의 금속과 지문 사이에 만들어지는 전기용량(capacitor)값을 수치화한 것이다 ...
- 초전도 현상과 BCS이론과학동아 l1998년 08호
- 때는 고무, 플라스틱 등을 사용한다. 이러한 물질은 부도체(insula-tor)라고 한다. 반도체(semiconductor)는 도체도 부도체도 아닌 묘한 성질을 지녔는데, 반쯤 도체인 듯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초전도는 어떤 현상인가. ‘초전도’는 영어 Superconductivity를 번역한 말이다. super라는 말은 보통을 ... ...
- PC 이상작동 응급처치 요령과학동아 l1993년 05호
- 반도체가 바로 CMOS인 것이다. CMOS는 상보형 금속 산화막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란 다소 긴 이름의 반도체로서, 전력 소모가 극히 적고 전원이 꺼져도 컴퓨터의 내장 배터리에 의해 정보가 보존되는 램의 일종이다. 이런 특징 때문에 286급 이상의 컴퓨터에서 시스템의 각종 정보를 ... ...
-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과학동아 l1992년 11호
- 절연막으로 실리콘산화막(oxide)을 입히고, 금속으로 게이트를 형성하므로, MOS(Metal-Oxide-Semiconductor)구조라 불린다.커패시터는 전하를 축적하는 곳이므로 유전율이 큰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트랜치형 또는 스택형이 있다.1G비트 메모리 속에는 ${2}^{30}$개의 메모리셀이 들어 있고, 이것이 약 2X ... ...
- ASIC 미래의 반도체를 주도과학동아 l1989년 09호
- 타입의 MOS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회로를 설계하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공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MOS형 트랜지스터는 (그림 4)에서 보는 것처럼 드레인(drain)과 소스(source)의 양 단자 사이에 게이트(gate)라고 하는 제어단자가 있는 3단자 소자이다.N-타임의 MOS ...
- 실리콘은 사라지는가 광전자(光電子)시대의 반도체소자과학동아 l1987년 05호
- 공정에 주로 쓰이는 금속─산화막─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 :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구조로는 대략 0.1마이크론 정도가 한계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현재까지의 집적기술 발전속도로 추정하면 서기 2천 년대 경에는 이 한계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원자 1개의 . ...
- 일본시장 진출과학동아 l1986년 10호
- 필요로 하는 데이타를 기억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PROM의 제조방식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산화막 반도체)와 바이폴라가 있는데, 속도는 바이폴라가, 집적도는 MOS가 우수하다. 또한 EPROM(Erasable PROM)은 사용자가 한번 기억시켜 놓은 PROM에 자외선을 쏘여 기록내용을 지운 뒤 새로운 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