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태어
황태
말린 명태
동태
북어
생태
노가리
스페셜
"
명태
"(으)로 총 6건 검색되었습니다.
귀족 생선 자바리, 이제는 기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2.17
이미 한계에 도달했어요. 동해에서는 이를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죠. 국내 연안에서
명태
는 더 이상 잡히지 않고 대게나 홍게의 생산량도 줄어들고 있어요. 잡는 어업에만 의존해서는 어민들의 소득을 보장하기 어렵죠. 결국 기르는 어업, 양식만이 대안인 셈입니다.” 그가 요즘 주목하는 곳 중 ... ...
신규원전으로 돌아보는 원전지역 특산물 (3)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20
어쩌면 대게와 홍게도
명태
의 전철을 밟을지도 모른다. 서민 식탁의 터줏대감이던
명태
도 불과 십여년 사이에 어획고가 급감했다. 문제는 지금의 감소세가 단순한 개체수 변동 사이클의 일부가 아니라 기후 변화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는 점이다. 대게는 기후변화가 우리의 밥상을 바꾸어 놓은, 또 ... ...
“10년이 넘는 기간의 자료를 집대성했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재미있는 점은 대구처럼 반대 사례도 보였다는 것입니다. 대구는 한류성 어종이지만
명태
와는 달리 어획고가 늘고있는 이유는 아직 정밀한 조사가 필요한 부분이기는 하지만 현재로서도 어느 정도 설명이 가능합니다. 30년 전부터 대규모의 대구 방류가 진해만을 중심으로 한 남해쪽에서 진행되어 ... ...
신규원전으로 돌아보는 원전지역 특산물 (2) 영광 법성포 굴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06
변화 사이에서 굴비는 말린 생선이라고 우습게 볼 음식이 아니다. 내장을 따고 말리는
명태
와는 달리 굴비는 참조기를 손질하지 않고 통째로 소금에 절여 돌로 눌러놓았다가 해풍에 건조하여 말린다. 특히 법성포의 굴비는 법성포와 같은 군에 있는 염산면의 염전에서 난 것만 써서 만든다고 한다. ... ...
동해연구소, 미래를 꿈꾸다! 2부
KIMST
l
2013.05.09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다. 동해의 대표적 수산자 원이던 냉수성 어종인
명태
는 거의 사라졌다. 동해에서는 온 수성 어종인 오징어의 어장위치가 변동되며 일년 내내 잡힐 정도다. 또한 고래상어, 붉은바다거북, 보라문어 등 아열대성 생물의 출현빈도도 증가하고 있다. 아열대성 생물의 ... ...
“한반도 기후 아열대화는 위기이자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1.12.26
잡히지 않고 있습니다. 한반도 근해의 수온이 계속 오르면서 대표적인 한류성 어종인
명태
가 러시아 쪽으로 북상해버렸죠. 지난 100년간 전 세계 해양 수온은 0.5℃ 상승했는데, 한반도 주변 수온은 지난 40년간 1.3℃ 올랐습니다. 우리 근해의 해수 생태계 변화가 그 어느 곳보다 빠르다는 얘깁니다.”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