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인
농민
소농
차지인
임차인
경작자
소자작농
스페셜
[COOKING의 과학] 땅 속의 사과, 감자!
KISTI
l
2015.10.04
사람들 The Potato Eater’(1885)을 떠올리는 사람들도 있을 것인데, 이 당시 감자는 가난한
소작인
들의 주식이자 생명줄이었다. 감자는 16세기경 네덜란드의 상인들에 의해 중국에 전래됐고, 국내에는 1824년경 만주의 간도 지방으로부터 전래됐다고 보고 있다. 감자 먹는 사람들(The Potato Eaters), 빈센트 반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꺼진 연구 불 지핀 톰슨과 크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이론의 단점을 해결하려는 사람이 있었다. 바로 제임스 크롤이다. 그는 스코틀랜드의 한
소작인
아들로 태어났다. 학문과는 거리가 멀고 가난했던 탓에 크롤은 대학은 커녕 공부조차 엄두를 내지 못했다. 그는 우선 먹고 살기 위해 목수가 될 결심을 하고 견습공이 됐다. 그러나 어릴 적 다쳤던 왼쪽 ... ...
성도착의 이모저모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장면을 훔쳐보면서 성적 만족을 추구하는 증상이다. 대표적인 사례는 11세기 영국에서
소작인
들의 세금을 덜어주기 위해 영주인 남편이 제시한 조건에 따라 알몸으로 백마를 타고 거리에 나온 백작부인을 마을사람들 중에서 유일하게 엿보다가 눈이 먼 재단사 톰이다. 톰처럼 거의 모든 사람이 어느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솔잎을 먹는 송충이와 배추잎을 먹는 배추벌레의 성격이 다르다. 하물며 만물의 영장인 인간의 경우는…우리는 상대방의 얼굴 생김새를 보고 그 사람 ... 습관은 17세기 이후부터 생겼다는 설이 있다. 그 이전에는 영주 집에서 큰 케이크를 만들어
소작인
에게 한쪽 씩 나누어 주었을 뿐이다 ... ...
통계의 함정 숫자놀음이 많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할 수는 없다. 첫번째 동네는 모두 소득이 비슷한데 두번째 동네는 부유한 지주와 가난한
소작인
들이 섞여 산다고 한다면, 평균소득은 이런 경우를 설명해 줄 수가 없다. 이 때에는 분산이라고 하는 흩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통계가 활약해야 한다.다소 과장되지만 우스운 예가 있다. 한사람이 왼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