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국사람
코리안
korean
한인
뉴스
"
한국인
"(으)로 총 1,167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자니아 국립공원 야생동물연구센터에 가다
2015.03.06
시간을 타야 도착할 수 있는 곳. 케냐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아프리카 동부의 탄자니아에
한국인
과학자가 ‘대기’ 하고 있었던 건 타위리에 있는 ‘연구소재은행(TWRRU)’ 덕분이다. 연구소재중앙센터는 매년 두세 차례 탄자니아에 국내 전문가를 파견해 탄자니아 현지 연구원의 교육을 ... ...
방사능 오염 토양에서 건강하게 식물 자랄 수 있다
2015.03.05
재배한 경우 식물 성장과 잎 건강 모두 개선됐다(아래). - 일본 이화학연구소 제공
한국인
과학자가 주도한 일본 연구진이 방사성 물질로 오염된 토양에서도 건강한 식물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지역 토양의 방사성 세슘 농도가 여전히 기준치보다 높게 나오고 있는 ... ...
한국인
과학자 OECD 원자력기구 주요 요직 선임
2015.02.26
하재주 신임 NEA 원자력개발국장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인
과학자가 국제기구의 원자력담당 국장으로 선임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하재주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전 신형원자로개발연구소장)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원자력기구(NEA)의 원자력개발국장에 선임됐다고 26일 밝혔다. ... ...
병원 가면 “다이어트 하세요” 이유 있었네
2015.02.17
β-hydroxybutylate·BHB)’라는 물질이 억제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에는 염윤희 예일대 박사 등
한국인
과학자도 포함됐다. 강도 있는 운동은 혈중 BHB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 istockphoto 제공 BHB는 굶거나 심한 운동을 할 때, 칼로리를 제한할 때 생기는 대사 산물이다. 실제로 연구팀이 쥐에게 탄수화물을 ... ...
3D 프린팅 넘어 ‘4D 프린팅’ 온다
2015.02.13
루스 교수팀도 열을 가하면 스스로 조립되는 토끼를 내놨다. 이 연구를 주도한 사람도
한국인
과학자인 안병권 연구원이다. 그는 루스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과정을 밟던 중 차세대 설계를 연구하는 오토데스크연구소의 선임연구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현재 안 연구원은 ‘4D 프린팅’이라는 ... ...
이종사촌-친사촌, 누가 나를 구해줄까?
2015.02.13
이어지는 불확실한 연결 고리가 두 개나 존재하는 관계”라고 설명했다. 흥미롭게도
한국인
들은 이종사촌 다음으로 친사촌이 2위를 차지했다. 전 교수는 “우리나라는 명절에 친가에 모이는 문화가 있다”면서 “외가보다 친가 친척과 오랜 시간을 보내는 문화가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말했다. ... ...
성적 줄세우기 그만… 내신-수능 절대평가로 바꾸자
동아일보
l
2015.02.12
해결해나가는 자발성에서 나오고, 이것이 시민사회를 구축하는 기본 윤리가 되는데 이게
한국인
에게서는 잘 발견되지 않는다”면서 “공익에의 기여, 타인에 대한 배려심 같은 가치를 찾고 배울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송 교수는 유급휴가를 받아 자신이 원하는 테마를 ... ...
우리 가족이 복부비만인 이유 "답 나왔다"
2015.02.12
유전자 영향 50% 중 10%밖에 설명할 수 없다. 아직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
한국인
이나 동양인은 거의 포함되지 않고 미국인, 백인 위주의 결과가 나온 것도 한계”라고 덧붙였다 ... ...
국내 과학자, 세계 3대 저널 자매지 초대 편집위원 선임
2015.02.09
편집위원으로 선임했다. 세계 3대 저널이 새로운 자매지를 만들면서 초대 편집위원에
한국인
과학자를 선임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셀 시스템스는 생명과학분야를 두루 다루는 셀 본지와 달리 생명과학 분야의 통합 시스템 연구결과, 즉 합리적이고 새로운 연구방법론에 대한 논문들을 ... ...
“의사가 되려면 ‘차가운 시선’도 갖춰야”
2015.02.08
노벨상 수상자 후보로
한국인
과학자를 2명이나 지목해 더욱 관심을 끌었지만 올해도
한국인
노벨상 수상자는 나오지 않았다. 반면 이웃나라 일본에는 작년에 또 경사가 생겼다. 노벨물리학상이 청색LED를 개발한 일본인 과학자 3명에게 돌아간 것이다. 이로써 일본의 노벨상 수상자는 과학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