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국사람
코리안
korean
한인
뉴스
"
한국인
"(으)로 총 1,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프냐? 통증과 고통 느끼는 경로 다르다
2015.07.19
연구원 제공 재미(在美)
한국인
과학자가 통증을 인식하고 고통스러운 감정을 느끼는 원리를 밝히는 데 성공했다. 한성 워싱턴대 하워드휴즈의학연구소 박사팀은 뇌에서 통증을 감각으로 인식하는 경로와 고통스러운 느낌을 받는 경로가 별개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국제학술지 ‘셀’ 1 ... ...
‘춤추는 나노입자’를 따라서…
2015.07.17
UC버클리) 연구원, 김관표 UNIST 물리학과 교수, 한상훈 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장 등
한국인
과학자들이다. 연구진은 수십, 수백 개의 원자로 구성된 매우 작은 나노 입자의 구조를 한번에 3차원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신개념 이미징 기술을 개발했다. 지금까지는 나노 입자를 건조해 시편을 제작한 ... ...
"휴보 아빠, 25일 사이언스바캉스 온다"
동아일보
l
2015.07.13
이끈 오준호 KAIST 교수 《 2004년 가을 이 땅에 두 발로 걷는 로봇, 즉 휴머노이드가 처음
한국인
의 손에 의해 탄생했다. 이미 일본의 아시모가 두 발로 걷고 뛰면서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키고 있을 때였다. 조금씩 세계 수준을 쫓아가던 이 로봇은 11년 만인 올해 6월 초 미국에서 열린 ... ...
美 스탠퍼드大
한국인
과학자들, 차세대 이차전지 활로 찾았다
2015.07.07
이석우 선임연구원(왼쪽)과 이현욱 박사후연구원. - 한국연구재단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출신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원들이 리튬이온전지의 차세대 소재로 주목 받는 실리콘 물질의 비밀을 밝혀냈다. 추이 이 스탠퍼드대 교수 연구실의 이석우 선임연구원과 이현욱 박사후연구원은 실리콘으로 ... ...
세계 최대 IT 전문가 학술단체 회장에
한국인
교수 선임
2015.06.30
국내 과학자가 세계 최대 규모 정보시스템 전문가 모임의 회장으로 선출됐다. KAIST는 이재규 경영대학 석좌교수(사진)가 1일 세계정보시스템학회(AIS) 학회장에 취임한다고 밝혔다. AIS는 90여 개국 4000여 명의 정보시스템 연구자들이 참가하는 정보시스템·경영정보학 분야 학술단체다. 이 교수의 ... ...
‘메르스 한국’ 세계가 보는데… 출국자 발열 검사도 안해
동아일보
l
2015.06.19
증상이 나타나면 입국 즉시 검역 당국에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중국과 홍콩을 경유하는
한국인
승객들은 검역 강화로 큰 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아예 경유편이 취소돼 여행 일정에 차질을 빚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은 메르스 2위 발병국으로 세계적인 ... ...
[메르스 업데이트] “홍콩이 메르스 전파 ‘허브’ 될 수도”
2015.06.15
메르스 확진자 여러 명을 예로 들어 한국 내 메르스가 퍼지는 과정을 설명했다. 또
한국인
메르스 감염자 중 한 명이 중국을 방문해 격리조치 된 사실도 공개했다. 특히 연구진은 홍콩이 항공 교통의 중심지인 만큼 이곳을 통해 단기간에 국제 사회로 번질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 ...
면역반응 지나치면 젊은 환자도 위험
동아일보
l
2015.06.15
항체 생긴 완치환자의 혈장을 투여 - 감염의심 초등생 증세 안 나타나 - 슬로바키아 방문
한국인
, 메르스 의심증세로 격리 - WHO조사단 “정보공개 늦어 방역 실패” - 격리 안된채 다수 접촉 ‘잠재적 슈퍼전파자’ 속속 드러나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 ...
감염의심 초등생 증세 안 나타나
동아일보
l
2015.06.15
생긴 완치환자의 혈장을 투여 - 면역반응 지나치면 젊은 환자도 위험 - 슬로바키아 방문
한국인
, 메르스 의심증세로 격리 - WHO조사단 “정보공개 늦어 방역 실패” - 격리 안된채 다수 접촉 ‘잠재적 슈퍼전파자’ 속속 드러나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 ...
뇌중풍으로 마비된 몸 자꾸 움직이라는 이유
2015.06.12
이는 마비된 오른쪽 신체의 회복을 저해해 재활에 도움이 안 된다. 최근 재미(在美)
한국인
과학자가 그 이유를 처음으로 밝혀냈다. 김수영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연구원은 뇌중풍 환자가 신체의 마비된 부위 대신 정상 부위만 집중적으로 사용할 경우 뇌 구조가 바뀌고 결과적으로 ... ...
이전
92
93
94
95
96
97
98
99
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