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스페셜
"
작용
"(으)로 총 1,26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부
작용
이 더 클 것이라고 예상할 경우 rACC의 활성이 낮아지고 그 결과 rACC의 억제
작용
에서 벗어난 PAG의 활성이 커지면서 척수의 통증 회로도 활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노세보 통각과민 효과에 관여하는 이 회로를 ‘rACC-PAG-척수 축’이라고 이름 붙였다. 즉 제삼자의 눈에는 노세보 ... ...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먼저 해양지각인 태평양판이 일본 동쪽에 위치한 해구 밑으로 파고드는 과정에서 탈수
작용
으로 물이 생긴다. 이 물로 인해 맨틀 밀도가 떨어져 위로 상승할 때 물이 뜨거워져 한곳에 모이면서 마그마 방(房)을 형성하며, 이후 에너지가 축적되다 폭발해 백두산이 생성됐다는 설명이다. 이는 현재 ... ...
토스터 크기 소형 탐지기, “유령을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7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또 작은 검출기로도 중성미자의 결맞음 상호
작용
검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향후 핵분열 및 핵융합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 등 여러 방면으로 응용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바뀌어 효소 활성에 중요한 195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의 위치가 틀어져 더 이상 효소로
작용
하지 못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 개체에서 다음 세대를 얻는 과정에서 식물 게놈에 끼어들어간 gRNA와 CAS9 유전자를 넣은 플라스미스 부분을 없앨 수 있다. 이 경우 식물 게놈에 외부 유전자가 없고 자기 ... ...
식물의 ‘잎 크기’ 결정하는 요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9.03
수분을 적게 소모하고, 물이 잎의 기공에서 기체 상태로 식물 밖으로 빠져나가는 ‘증산
작용
’을 통해 증발하는 물의 양이 적기 때문이다. 또 잎이 가늘기 때문에 물도 많이 필요하지 않다. 나무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적어도 생존할 수 있단 의미다. 물과 함께 발산하는 열도 적기 때문에 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비슷했다며 데이터로 제시했다(필자가 보기에도 그런 것 같다). 논문에서 애벌레 효소의
작용
으로 폴리에틸렌이 분해돼 나온 에틸렌글리콜 피크의 실체는 필름에 바른 애벌레 주스를 완전히 닦아내지 않아 남은 찌꺼기에서 온 것이라는 말이다. 이들은 서신 말미에서 애벌레의 플라스틱 생분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임상에 적용돼 현재 쓰이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우리가 약물로 인해 겪는 부
작용
가운데 적지 않은 부분이 이런 대사과정의 혼란에서 비롯된 것이고 이를 정리하는 게 해결책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 예다. 이처럼 생체이물의 대사에 장내미생물이 깊숙이 관여하고 있고 우리 건강에도 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할당할 경우 이동 같은 움직임에 필요한 신경회로가 부실해져 오히려 생존에 불리하게
작용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생쥐를 포함한 사족보행 포유류에서 이 회로가 퇴화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포유류의 역사에서 오늘날 원숭이처럼 주로 나무에서 생활하게 적응한 동물에서 이런 손놀림 회로가 ... ...
2m 길이 DNA가 4㎛ 세포핵에 쏙 들어가는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7.30
㎚의 ‘뉴클레오솜’을 형성한다. 그리고 양전하를 띤 아미노산과 음전하를 띤 DNA의 상호
작용
끝에 단단하게 결합해 더 응축한다. 대부분의 염색체는 실에 꿴 바늘처럼 긴 사슬 모양의 뉴클레오솜이 결합한 형태로 존재한다. 연구진은 3차원 현미경 구조 분석을 통해 염색질을 조사한 결과, DNA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 신경생리학저널 제공 이에 따르면 우리가 고온에서 다습을 느끼는 건 전적으로 촉각의
작용
으로 여기에는 땀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변 온도가 올라가면 우리 몸은 체온을 조절하기 위해 땀을 분비한다. 그럼에도 지난달처럼 덥지만 건조할 때는 웬만해서는 피부에서 땀이 보이지 않는데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