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스페셜
"
작용
"(으)로 총 1,266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웅적인 행동도 여성이 하면 과소평가 된다?
2017.05.27
경향이 있으므로 봉사활동에서 여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데는 이러한 이유가
작용
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런 사회적으로 부여되는 역할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감능력이나 타인의 고통에 마음쓰는 정도도 사실상 성차가 나타나지 않으며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남성에게 열심히 하도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많은 사람들이 고통 받고 있는 현실을 발견한다. 블룸은 일시적인 증상 완화에 그치는 부
작용
이 많은 약물치료로는 희망이 없다고 보고 환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기능의학에 주목한다. 즉 식생활 등 생활습관을 바꿔 몸의 자연치유력(이 경우 면역계 균형)을 회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2013년 ... ...
X선 결정구조 분석법을 통해 최초로 밝혀진 세포막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7.05.14
있는 칼슘 펌프의 4가지 상태에 대한 구조를 분석했지요. 칼슘 펌프는 지질 이중층과 상호
작용
하며, 세포막에 떠 있을 수 있도록 상태를 바꾸거나, 균형을 이루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세포막에 고정될 수 있도록 닻처럼 변하기도 했습니다. 그동안 세포막에 있는 여러 구조(나트륨-칼륨 펌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2017.05.02
잎 표면의 왁스층에 붙잡히거나 기공을 통해 식물체 안으로 들어가 쌓이거나 식물효소의
작용
으로 다른 성분으로 바뀐다. 따라서 미세먼지 제거 능력이 뛰어난 식물을 많이 심으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지만 막상 그렇지도 않다. 예를 들어 단위면적에 최대한 많은 잎을 확보하려고 키가 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곡률을 분석해 찾은 얼굴에서 유전성이 큰 부분과 겹친다. 아무튼 유전성이 큰 부위에
작용
하는 유전자들의 실체를 규명한다면 ‘얼굴 유전자’의 실체가 드러날지도 모른다. 이 분야 연구자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DNA 기반 몽타주’를 만드는 것이라고 한다. 즉 범인이 남긴 DNA에서 게놈을 해독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코델리아 러닝과 존 헤이스는 글 말미에 음식의 선호도에서 선천적인 요소가 크게
작용
하지만 전부는 아니라고 언급했다. 음식이 웬만하면 먹고살기 마련이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오싫모의 경우처럼 어떤 음식을 강하게 거부한다면 거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고 아마도 그 배경에는 ... ...
[사이언스지식IN] “돌 안된 아이에 꿀 금지, 잊지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4.14
- 그래픽:동아일보 제공 ● 왜 돌 전 아기만 위험한 건가요? 어른들은 간의 해독
작용
으로 꿀이나 옥수수 시럽에 들어있는 극미량의 보툴리누스균이 내뿜는 독소를 몸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하지만 간 기능이 미숙한 영아들은 사정이 다르다. 미처 분해하지 못한 독소가 소장으로 흡수되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잠이 잘 오지 않는다. 커피에 들어있는 카페인은 이 수용체에 달라붙어 아데노신의
작용
을 방해하므로 안 그래도 수용체가 부족한 노인은 카페인 음료를 자제하는 게 좋다. 뇌에서 수면과 각성을 조절하는 회로는 시상하부와 뇌간으로 이뤄져 있다. 시상하부의 시각교차앞영역(POA)에서는 수면의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있다. 면역세포가 암세포와 정상세포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면역세포가 암세포와 상호
작용
할 때, 움직이는 방향성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등 꾸준히 연구를 해왔다. 그는 다양한 주제에 관심이 많다. 이러한 연구적 호기심은 첨단연성물질 연구단이 강조하는 융합의 개념과도 맞닿아 있다.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및 단백질의 발견은 식물의 개화 시기 조절 메커니즘 연구로 이어지고 있다. PWR 단백질의
작용
과 같이, 식물은 후성유전학적으로 DNA에 담긴 유전정보의 변화 없이도 자신의 생애 전반에 걸친 중요한 유전적 결정을 내린다. 개화나 열매와 같은 유전적 결정을 조절할 수 있는 열쇠에 관한 연구를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