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작용"(으)로 총 1,26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2018.07.03
- 양의 60% 수준이기 때문이다. (중력으로 존재를 알 수 있는 암흑 물질은 광자와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비가시(非可視) 물질이다.) 그렇다면 가시 물질의 나머지 40%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은하간공간 텅 빈 건 아냐 학술지 ‘네이처’ 6월 21일자에는 우리가 잃어버렸던 물질을 우주망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 않고 버틸 수 있다. 밤이 되면 카페인이 거의 분해됐고 깨어있는 동안 축적된 아데노신의 작용으로 쉽게 잠이 든다. - 그래픽=강석기 작가 제공 다만 작업이 있거나 약속이 있는 날 카페에 들어서면 공간에 퍼져있는 커피향을 맡는 순간 나도 모르게 커피를 마신다. 미국 저널리스트 찰스 두히그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2018.05.08
- 메르켈 세포와 활성신호를 보내는 미지의 세포(아직 실체를 규명하지 못했다)가 함께 작용해 적당한 수준의 가려움을 느끼게 된다. 반면 노인의 피부에서는 메르켈 세포의 억제신호가 약해져 가벼운 물리적 자극에 대한 반응의 균형이 깨지면서 지속적으로 강한 가려움을 느끼게 된다. 참고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2018.05.01
- 아니다. 즉 환자의 절반에게는 진짜 약을 나머지는 가짜 약을 주고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을 보는 게 아니라(이 경우 환자는 물론 연구자도 누가 진짜 약을 받고 누가 가짜 약을 받았는지 모르는 ‘이중맹검’ 상황이다) 환자 전부 진짜 약을 받은 임상시험이다. 이미 허가를 받은 약물로 안전성이 ... ...
- 기술력 최고인 남한, 광물자원 풍부한 북한과학동아 l2018.04.26
- 억 년 전~5억4000만 년 전)부터 신생대(6500만 년 전~현재)까지 전 지질시대에 걸쳐 지질학적 작용의 결과 현재 한반도의 지형 형태와 광물자원이 형성됐다”며 “고생대(5억4000만 년 전~2억5200만 년 전) 이전 남중국지괴에 속한 남한과 달리, 북중국지괴에 속한 북한 지역에는 철, 연-아연, 마그네슘 광상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2018.04.24
- pFRG도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다. 그러나 단순히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작용이 호흡의 전부가 아니기 때문에 호흡 전반에 대해 아직까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한숨 못 쉬는 것도 병 호흡이 꼭 몸의 대사를 반영하는 게 아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가 한숨이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2018.04.17
- 보여준다. 보노프라잔(P-CAB)은 위 내강 쪽 문이 열린 상태의 양성자펌프(E2P)에 달라붙어 작용을 방해한다. 오른쪽은 약물이 붙은 상태에서의 양성자펌프 구조다. - ‘네이처’ 제공 필자는 지난해 이맘때 위산과다 증상이 재발해 두 달 넘게 고생했다. 겨울 동안 운동 부족에 감기몸살로 밥을 ...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 개인맞춤 치료 시대 올까?동아사이언스 l2018.03.24
- 면역세포를 공격하는 경로를 차단하거나,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등의 작용을 한다. 최근 이런 면역항암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국내외 제약회사 등에서 새로운 면역항암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임상도 늘고 있다. 국내만 해도 식품의약품안전처 자료에 따르면 작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2018.03.20
- 수요와 배터리 원료 공급을 예측하는 시나리오를 돌려본 결과 병목(bottleneck)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큰 원료가 리튬이 아니라 코발트라고 주장했다. 리튬 수급도 여유가 있는 건 아니지만 적어도 2025년까지는 바다에서 추출하는 걸 고민해야 할 정도는 아니라는 것이다. ‘아니 지금 리튬이온배터리 ... ...
- [표지로 읽는 과학] 곰팡이 호흡기 감염 막는 면역 작용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3.18
-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반드시 MelLec가 필요했다”며 “쥐 뿐만 아니라 사람에게서도 면역 작용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 doi:10.1038/nature25974 Gordon Brown et al, Recognition of DHN-melanin by a C-type lectin receptor is required for immunity to Aspergillus, Nature, v.555, p382–386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