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야구는 수학 놀음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집단 내 모든 값의 합을 집단의 개수로 나눠 구한다. 최빈값은 집단에서 가장 많이 관측되는 값을 뜻한다. 작은 값부터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앙에 있는 값을 일컫는 중앙값도 있다. 이처럼 대푯값은 기준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1, 4, 5, 5, 5, 6, 8, 9, 9, 9, 12가 있을 때 평균은 6.64, 중앙값은 6,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혼자만의 노력으로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는 없다. 김담의 멘토였던 이순지와, 정밀한 관측기구를 만들었던 장영실, 이천 등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하지만 세종은 물론 이순지와 장영실, 이천은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헌정돼 있을 정도 그 업적을 인정받고 있는 반면 김담은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빛은 관측자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속도를 갖는다. 잘 알려져있듯 초속 30만km다. 하지만 진공이 아닌 다른 매질, 광자의 전진을 방해하는 어떤 물질 속으로 들어가면 빛의 속도도 느려진다. 예컨대 물속에서는 1.5배 느려지고, 반도체에서는 3배 정도 속도가 느려진다. 반도체는 일상에서 볼 수 있는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우주복에 달린 고해상도 카메라를 떼어내 로봇에 부착시키면 원격에서도 화성 지형을 관측할 수 있다.오픈소스 매뉴얼 ‘오픈큐리오시티’를 보니, 소형 드릴과 샘플분석 장치도 제작할 수 있다. 나는 쾌재를불렀다. 화성탐사로봇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샘플 수집과 분석이 불가능하면 로봇은 화성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진동변환이 일어났음을 명확히 확인했다.캐나다 정부는 이 업적에 고무돼 SNO 지하관측연구시설을 구축해 여러 실험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했다. 필자는 이 연구시설에서 진행되는 실험을 선정하고 평가하는 위원으로 3년간 활동하며 맥도널드 교수와 가까워졌다. 그는 우리나라와 공동연구를 ...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칼루차-클라인의 사례에서 보듯, 아무리 훌륭한 이론이라고 해도 예측된 현상이 실험과 관측을 통해 확인되지 않는다면 그저 아름다운 수학이론에 지나지 않는다. 어쨌든 궁극의 이론에는 지난 100년 동안 더 세련되게 다듬어져 온 일반상대성이론이 어떤 형태로든 포함될 것이다. 통일이론의 등장은 ... ...
- [과학뉴스] 시내 공립고등학교에 망원경이 있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위치해 주변에 논이 많다. 아파트가 없어서 비교적 불빛이 적다. 망포고의 천체관측동아리 이름도 ‘별볼일’이다. 기장을 맡고 있는 2학년 김서연 학생은 “진로를 우주공학 쪽으로 생각하고 있다”면서 “천문대 덕분에 학교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김 교사는 “별볼일 천문대를 ...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선임연구원은 그 수를 200개 이하로 예측했다.“NASA의 달 정찰 궤도탐사선(LRO)의 경우, 달 관측 데이터를 초당 100Mb 속도로 지구로 전송합니다.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는 38만km, 화성까지는 7800만km니까, LRO의 통신기술을 그대로 적용한다고 했을 때 중계위성이 200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건 ... ...
- [과학뉴스] 유령입자가 충치 막았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연구팀은 불화수소가 적외선을 흡수하면서 남긴 특이한 스펙트럼을 중점적으로 관측했다. 그 결과 51개가 넘는 별에서 불소 농도가 높다는 사실은 확인했다. 보통 별에서 일어나는 핵융합으로는 만들어질 수 없는 높은 농도였다.연구팀은 초신성 폭발을 원인으로 꼽았다. 초신성이 폭발할 때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알아내자고 했다. 하지만 별의 위치를 제대로 확인하거나 배 위에서 달과 별을 매일 관측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1735년에 이르러 존 해리슨이라는 시계공이 새로운 해상시계 ‘H-1’을 들고 나타났다. 새 시계는 온도에 따라 서로 다르게 반응하는 금속을 써서 한쪽 금속 부품이 변형돼도 다른 한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