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장에 몇 명 모였나? WIFI로 센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WIFI 신호가 사람 몸에 닿으면 반사파가 생성돼 원래 신호와 서로 간섭을 일으키는 현상을
관측
한 것이다.연구팀은 이 현상으로부터 사람 수를 역으로 추정하는 수학 모델을 개발했다. 실내외에서 실험한 결과 최대 9명까지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었다. 모스토피 교수는 “별도의 전파 수신 장비가 ... ...
세상에서 가장 큰 블랙홀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420조 개가 동시에 빛을 내는 것만큼 밝았어요. 이전까지 가장 강한 에너지를 내는 것으로
관측
된 퀘이사보다도 7배나 더 많은 에너지를 뿜어냈지요. 우 교수는 “이번 퀘이사와 블랙홀은 우주의 가장 밝은 등대와 같으며, 앞으로 초기 우주를 연구하는 데 반짝이는 등대가 되어 줄 것”이라고 ... ...
[수학뉴스] 슈퍼컴으로 지구의 속살을 보다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전 세계 지진
관측
소에서 기록한 진도 5.0 이상인 지진 3000건을 분석했습니다. 지진
관측
소는 지진파가 만드는 세밀한 진동을 기록합니다. 연구팀은 분석 결과를 이용해 지금껏 볼 수 없었던 지구 표면과 지구 중심 사이에 있는 맨틀(깊이 30~3000km)의 구조를 보여 주는 정확한 3차원 지도를 그렸습니다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가상현실 만끽하자 2013년 우리나라에는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93회나 발생했다. 지진
관측
사상 최다 기록으로 예년의 2배 수준이었다. 지진은 지난해 49차례로 다시 줄었지만 국민들의 불안감은 가시질 않고 있다. 대지진의 여파로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분석 때문이다.1 ... ...
도심형 싱크홀, 인공위성으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데 착안했다. 김 교수는 “위성의 공간 해상도가 수 cm 정도로 높아져 복잡한 도심 지형도
관측
할 수 있다”며 “아리랑 5호의 데이터가 3년 정도 쌓이면 싱크홀 예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볼츠만 은 슈테판의 실험결과를 이론적으로 증명했다. 열역 학을 이용해 슈테판의
관측
결과와 똑같은 결과를 도 출했다. 이후 흑체 복사 에너지와 온도의 관계식을 슈 테판-볼츠만 법칙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하지만 당대 최고의 물리학자 볼츠만도 슈테판의 상수값을 이론 적으로 계산해내지는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적외선을 주로
관측
해요. 적외선은 열을 내는 물체라면 어디서든 나오는 파장이에요.
관측
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태양빛의 방해가 적고, 온도가 낮은 150만km 상공의 ‘라그랑주 점’에 머물 예정이에요. 또 몸체의 온도를 영하 233.15℃까지 낮추고, 빛을 막는 ‘차광판’을 이용해 태양의 영향을 ... ...
10억 분의 4의 가능성, 뮤온 붕괴 현장 포착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LHC) 실험에서 지금까지 이론으로만 존재하던 새로운 입자의 붕괴 현상이 처음
관측
됐다. 여기에는 한국 연구진이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검출기가 큰 역할을 했다.유럽입자물리연구소 연구진은 중성 B중간자(B0)가 뮤온으로 붕괴하는 과정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5월 13일자에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논문을 통해서도 연구됐다. 이리스(IRIS) 위성
관측
결과 온도 역전 현상도 최근
관측
됐다.채층 - 태양의 하층 대기 구조 중 하나. 외곽에서 온도가 2만K까지 오른다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참사가 발생했다.그럼에도 지진학자들은 지진을 포기하지 않았다. 다양한 방식으로
관측
데이터를 축적해 나가는 중이 다. 지진발생 전에 단층대에 발생하는 응력을 GPS나 응력계, 경사계를 이용해 측정하는 방법이 대표적이 다. 단층대가 파쇄될 때 단층대의 전기전도도가 소폭 증가하는 현상을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