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9년의 기다림, 몇 초의 만남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드디어 만났다. 명왕성과 그 달의 협곡을. 이로써 뉴호라이즌 호는 태양계 바깥에 있는 천체를 탐사할 첫 번째 탐사선이 됐다.7월 14일 미국항공우주국(NASA) ... 일부 혜성의 고향일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뉴호라이즌 호는 2020년까지 카이퍼벨트를 관측하고 2026년 공식 임무를 마칠 예정이다 ... ...
- 중력파 검출, 초읽기 들어가나?과학동아 l2015년 08호
- e-리사(evolving LISA)로 이름을 바꿨다. 유럽우주국은 2034년을 목표로 e-리사 등 우주 중력파관측소 가동을 추진 중이다. 새로운 중력파 검출기, 소그로아말디 회의에서는 미래의 새로운 중력파 검출기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특히 1세대 중력파실험물리학자인 미국 메릴랜드대 백호정 교수가 발표한 ... ...
- 너도 금사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언저리에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그래서 전문가들은 과거 고문헌에 쓰여 있는 예전 관측 기록과 은하수와의 거리를 참고해서 견우성이 독수리자리의 알테어가 아니라 염소자리의 ‘다비’라고 생각합니다. 다비는 3.2등급이라 밝은 직녀성과 어울리지 않고 도심에서 절대 볼 수 없지만, 빛 공해가 ...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돼 있어 중국에서 초미세먼지가 날아오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있다. 서울 하늘의 초미세먼지 중 몇 %가 중국에서 왔는지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그때쯤 되면 명백한 증거를 중국 코앞에 들이밀며 책임을 추궁할 수도 있겠지만, 단순히 문제제기만 해서는 ...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우리나라 위성 최초로 단 고성능 적외선 센서 덕분에 아리랑 3A호는 한밤중에도 지구를 관측할 수 있답니다. 반사경을 만드는 기술을 갖추게 되면서 비로소 우리나라에서 위성을 완전하게 만들 수 있게 됐지요.”*주경 : 반사망원경에서 빛을 먼저 모으고 반사하는 역할을 하는 가장 큰 반사경. ... ...
- 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내려가려면 플라스마의 밀도가 크게 영향을 미칠 거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데이비스 기상관측소의 도움을 받아 대기를 구름에 가까운 쪽과 땅과 가까운 부분으로 나눠 전하 밀도를 분석했다. 연구팀이 사용한 방법은 ‘슈뢰딩거-정전기 알고리즘’이다.전하가 움직일 때 생기는 번개 섬광과 ... ...
- [생활] 우주로 떠나는 시간여행 천문학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말했다.김주한 교수는 “천문학 연구의 목적에 맞는 SW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이론과 관측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 연구원은 “갈수록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급속도로 늘고 있어 SW를 활용해 빅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하면서 파동이 전파될 수 있었다. 또한 그 파동의 이론적 속도가 빛의 속도를 관측한 값과 매우 정확히 일치했다. 이를 통해 맥스웰은 빛과 전자기가 같은 작용이며, 빛이 전자기법칙을 따라 장을 통해 전파되는 파동, 즉 전자기파라는 결론을 내렸다.그로부터 20년 뒤, 1887년 독일의 하인리히 ... ...
- 18년 만의 슈퍼 엘니뇨 강타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가뭄이 4년째 이어지고 있다. 슈퍼 엘니뇨가 슈퍼 태풍 부른다?지난 5월은 우리나라 기상관측 이후 가장 더운 5월로 기록됐다. 30℃ 안팎의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폭염 특보도 여러 차례 내렸다. 최근 한두 달 사이 중부지방에 심각한 가뭄이 이어지고 있다. 이 역시 엘니뇨의 영향이 아닐까.국종성 ... ...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독일 물리학자의 이론을 영국 천문학 관측팀이 입증하는 아름다운 모습 말이다. 혹은 두 관측팀을 소브럴과 프린시페로 보내기까지 매우 많은 비용이 소모됐다는 점에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것처럼 보이는 쪽을 선호했을 수도 있다. 상대성이론을 널리 퍼뜨리길 원했던 에딩턴의 입장에서는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