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구"(으)로 총 2,13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를 알면 수학과 영어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위해 손가락을 이용해 수를 세거나 동물의 뼈에 표식을 남기는 방법으로 수를 셌다. 도구가 발달하고 사냥 기술이 점차 발달하면서 거래와 교역이 많아져 수 세기는 더욱 발전했다. 고대 문명은 각자의 독자적인숫자를 가졌는데,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0, 1, 2,…, 9를 이용한 수 체계는 15세기경 ... ...
-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사용되는 미지수를 가리킨다. 다만 천원술은 오늘날의 대수방정식과 달리 산대라는 계산도구를 사용해서 문제를 풀었다. 그래서 천원술을 ‘기구적 대수학’이라고 불린다.흔히 문(文)을 숭상하던 조선시대에는 수학이 잡학으로 분류돼 발달하지 못했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홍정하의 ...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과학동아 l2010년 01호
- 하드디스크만 분리했다. 맥가이버 칼이 있어 손쉽게 하드디스크를 분리할 수 있었다. 도구 하나가 사람 한 명 이상으로 든든했다.달이 서쪽으로 넘어갈 무렵 우리가 가는 방향과 구조 메시지를 남겨 놓고 길을 떠났다. 딩고 떼가 쫓아올 수 있다는 생각에 뒤를 돌아볼 겨를도 없었다. 뛰는 듯 얼마를 ... ...
- 지식과 논리 갖춘 창의력이 관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중학교 과정뿐 아니라 고1 과정까지 미리 학습하고 수학적, 과학적 도구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훈련이 필요하다. 다양한 주제의 문제를 직접 풀어보고, 새로운 실험을 설계하고 접근방식을 고민해보자. 그 과정을 글로 정리해보는 방법도 도움될 것이다 ... ...
- 1부. 아름다움의 비밀은 수학!수학동아 l2010년 01호
- 공간감각을 배울 수 있습니다. 매듭은 그래프 이론, 평면·입체 도형을 공부할 때도 좋은 도구죠. 매듭을 연구하는 수학 분야도 있습니다. 우리 선조들은 자신도 모르게 비례와 공간감각을 배워 나간 것은 아닐까요? 한옥이나 매듭에서 볼 수 있는 비례와 대칭, 그리고 기하학적 지식이 조상의 삶 속 ... ...
- 문어도 도구를 사용한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도구 사용 능력이 소라게를 훨씬 앞선다”고 설명했다.그렇다면 핏줄문어가 코코넛을 도구로 사용하는 방법을 어디서 배웠을까. 연구진은 학습을 통해 후천적으로 배웠는지, 아니면 조상에게 물려받는 습성인지 아직까지 알아내지 못했다. 핀 박사는 “천적의 눈에 띄기 쉬운 곳에서 살아오면서 ... ...
- 자전거 40년 노하우를 한 권에!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자전거 마니아다. 그는 고등학생 때부터 대학생 시절까지 직접 조립한 ‘애마’에 캠핑 도구를 싣고 일본 전역을 일주했는데, 50일 동안 매일 150km를 시속 25km로 달렸다는 강자다.그가 자전거를 탄 세월도 어느덧 40년. 저자는 자전거를 사랑하고 자전거를 잘 타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몸에 배어 있는 ...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수학동아 l2009년 12호
- 다시 그림자가 가장 길어지는 순간까지의 날 수를 세면 됩니다. 동양에서는 규표라는 도구를 이용해 그림자의 길이를 쟀지요. 수평으로 놓인 눈금자가 ‘규, 수직으로 놓인 막대가 ‘표’라 규표라고 불렀습니다. 이렇게 측정한 일 년의 길이는 약 365.2422일입니다.365일&0.2422일×24시간=5.8128시간&0.812 ... ...
- 볼펜 한 자루의 과학과학동아 l2009년 12호
- 만들려고 시도한 사람은 19세기 영국의 가죽가공업자인 존 라우드다. 당시 주된 필기도구인 만년필로는 가죽에 글씨를 쓸 수 없어 고민하다가 볼펜을 생각해냈다.그는 강철 재질의 볼과 볼을 싸는 소켓을 고안해 1888년 특허까지 냈지만 잉크가 줄줄 새 제품화에는 실패했다. 헝가리의 신문 ... ...
- 창의설계 및 생산공학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시대가 시작됐고, 증기기관의 발명은 18세기 산업혁명의 기반이 됐다. 이렇게 새로운 도구와 기기의 출현은 인류의 역사에 큰 획을 긋곤 했다.창의설계 및 생산공학 또한 과거에는 없던 새로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제작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이를 실제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