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공구
연장
용구
기계
계기
수단
d라이브러리
"
도구
"(으)로 총 2,136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과정이 생략되므로 더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이라고 말했다. 화학자들이 생명체의
도구
를 빌려 좀 더 정밀한 거울분자의 세계를 열어가고 있는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 ...
볼펜 한 자루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만들려고 시도한 사람은 19세기 영국의 가죽가공업자인 존 라우드다. 당시 주된 필기
도구
인 만년필로는 가죽에 글씨를 쓸 수 없어 고민하다가 볼펜을 생각해냈다.그는 강철 재질의 볼과 볼을 싸는 소켓을 고안해 1888년 특허까지 냈지만 잉크가 줄줄 새 제품화에는 실패했다. 헝가리의 신문 ... ...
[수학 통조림] 단위를 요리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몇 걸음인지를 잰다.발, 손톱, 양팔 길이 등을
도구
로 사용한 것은 옛날부터다. 따로
도구
가 필요하지 않아서 편리했다. 그런데 아빠 손과 내 손의 크기, 아기 발걸음과 내 발걸음의 폭이 모두 다르다. 이렇게 다른 손 뼘이나 보폭을 ‘임의단위’라고 한다. 임의단위에서 한발 더 나아간 것이 ... ...
생각을 표현하는
도구
‘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기계공학과에 진학한 필자를 공학박사의 길로 들게 한 결정적인 동기는 안성훈 교수의 수업이었다. 그 수업에서 나만의 아이디어를 공학을 통해 표현하는 방법과 그것을 위한 새로운 제조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그리고 이것을 필자의 연구 주제로 선택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던 중 한국학술진흥재 ... ...
서울대 논술 어떻게 대비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정확하고 압축적으로 독해하는 데 좋은 방법이다. 특히 서울대는 과학 현상을 수리적
도구
로 분석하는 유형이 자주 출제된다. 교과서에 등장하는 개념을 모른 채 논술을 준비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하지만 제시문에는 부족한 배경지식을 채워주거나 논제의 답을 작성하는 데 필요한 결정적인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다시 그림자가 가장 길어지는 순간까지의 날 수를 세면 됩니다. 동양에서는 규표라는
도구
를 이용해 그림자의 길이를 쟀지요. 수평으로 놓인 눈금자가 ‘규, 수직으로 놓인 막대가 ‘표’라 규표라고 불렀습니다. 이렇게 측정한 일 년의 길이는 약 365.2422일입니다.365일&0.2422일×24시간=5.8128시간&0.812 ... ...
파이프오르간에서 피아노까지 건반악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이용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하프시코드 건반 끝에는 가죽이나 새 깃대로 만든
도구
(플렉트럼)가 있어 현을 튕긴다. 그래서 하프시코드 소리는 기타에서 나는 고음 같다.클라비코드와 하프시코드는 200년 가까이 사랑을 받았지만 1709년 이탈리아의 파르톨로메오 크리스토포리가 피아노를 ... ...
리튬이온전기 꽂고 전기차 시대 ‘스위치 온’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그을음을 찾아볼 수 없었다고 한다. 피라미드가 만들어진 시기는 기원전 2000년경. 조명
도구
라고는 횃불이 유일했던 시기였다.이 때문에 고대 이집트인들이 건설공사를 할 때 전기 램프를 사용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실제 이집트에는 전지의 원리를 사실과 상징을 섞어 묘사한 듯한 벽화가 있다.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건 뭘까. 역시 카메라다. 아름다운 풍경을 오랫동안 간직하고 지인과 추억을 나누기 위한
도구
로 이만한 것이 없다. 육중한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DSLR)’든 손지갑 크기의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든 하나쯤은 손에 쥐고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이런 ‘정통 카메라’ ... ...
논술 준비는 기본개념 정리부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과학과 함께 공부해라. 수학에서 난이도가 높은 편인 미적분을 과학 문제를 푸는
도구
로 사용하는 문제들이 많이 출제되고 있다. 이 문제들은 변별력을 주기 위해 출제되고 있다. 상위권에 들기 위해서는 필히 준비해야 한다. 셋째 교과과정에서 배운 각 과목별 기본개념과 정의를 정확히 정리하라.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