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구"(으)로 총 2,136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내 하나뿐인 돼지 ‘지노’과학동아 l2009년 09호
- 원액은 피부에 묻으면 허물이 벗겨질 정도로 강력하다. 인큐베이터나 사료용기, 실험도구처럼 소독이 필요한 물품이 대부분 스테인리스로 이뤄져 있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보통 철은 이 소독약에 닿으면 새까맣게 부식된다.지노와 지노2는 곧 인큐베이터를 벗어나 낯선 환경을 만난다. 특수 SPF ... ...
- 얼굴 없는 범인 잡는 심리수사기법과학동아 l2009년 09호
- 필요하다. 연쇄살인사건이 발생하면 과거에 해결된 사건 가운데 피해자의 특징이나 살해도구, 결박 방법 등이 유사한 사건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해 범인의 특징을 파악한 뒤 수사에 활용한다.그런데 이때 놓쳐서는 안 될 범죄심리학의 철칙이 있다. ‘모든 사건은 새롭다. 심지어 같은 ... ...
- 수학은 처음에는 수학이 아니었다?수학동아 l2009년 09호
- 수학은 인류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학문이자,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요긴한 도구다. 수학은 과거 인류가 들판에서 과일을 따고 강이나 숲에서 동물을 사냥하던 시절부터 시작됐다. 함께 사는 동료의 수를 세거나 식량이 되는과일이나 사냥감의 수를 세는 단순한 일이 바로 최초의 ...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수학동아 l2009년 09호
- 수천 년 전부터 대나무 등으로 만든 ‘산대’ 또는 ‘산가지’ 를 계산 보조 도구로 이용했다. 막대를 가로 또는 세로로 놓으면서 숫자를 만들어 내고 계산하는 것이다. 아래와 같이 일, 백, 만 등의 자리에서는 세로로 놓은 산가지 하나가 1을 나타내고 가로로 놓은 산가지는 5를 나타낸다. 반면에 십 ... ...
-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수학동아 l2009년 09호
- 계산기나 컴퓨터가 없던 시절 천문 현상을 계산하는 관리들은 나뭇가지(산가지)와 같은 도구를 이용해 연립방정식, 제곱근, 삼각함수 등을 계산했다. 또한 칠정산내편과 외편으로 각각 계산한 결과를 비교해 보며 계산이 정확한지를 확인했다. 훗날 칠정산은 오차가 너무 커져 새로운 역법인 ... ...
- 노벨상 수상자가 말하는 과학의 가치과학동아 l2009년 08호
- 수학을 ‘계산의 도구’로 여긴다. 하지만 KAIST 출신 부부 수학자인 저자들은 ‘생각의 도구’라고 강조한다. 수학을 싫어하는 딸을 위해 딱딱한 공식과 법칙을 말랑말랑한 그림으로 바꾸고, 복잡한 기호나 계산이 아니라 정말 단순한 사실로 수학 명제를 증명해냈다. 딸뿐 아니라 수학을 싫어하던 ... ...
- 연세대 수시 2-1: 구술에서 논술로과학동아 l2009년 08호
- 해체하거나 종합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항목이다. 이때 해체나 종합의 대상과 그 분석의 도구는 각각 교육 과정 내 지식과 독해를 통해 이미 얻어 놓은 소재 중에 있다. 분석의 핵심은 인과이다. 촘촘하게 짜인 그물처럼 논리적 비약 없이 원인과 결과를 나열해야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역시 ... ...
- 아폴로의 달 착륙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09년 07호
- 로켓에만 갇혀 있지는 않다. 38만km나 떨어져 있는 달에 버려진 착륙선, 월면차, 각종 채집 도구에 쓰이고 끝난 것도 아니다. 당시 기술은 일상 속으로 파고들어와 있다.아폴로 우주복에 사용된 천을 보고 싶다면 부산아시아드 주경기장에 가면 된다. 아폴로 우주인이 입었던 우주복은 테플론, 캡톤, ...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과학동아 l2009년 07호
- 또 이들은 불을 사용한 흔적이 있고 동물의 뼈에는 살을 발라 먹기 위해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한 흔적이 남아 있다. 물론 다양한 석기도 출토됐다. 배기동 교수는 “불과 400cc 정도의 뇌로 최근까지 살아남았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뇌 용적과 기능의 관계를 다시 생각해 봐야 한다”며 “앞으로 추가 ... ...
- 과유불급(過猶不及)과 부등식과학동아 l2009년 07호
- 방정식을 푸는 강력한 도구이듯이 부등식의 성질도 간단하 지만 부등식을 푸는 강력한 도구다. 그런데 부등식의 성질은 등식 의 성질과는 다르다. ‘2<4’이지만 ‘2×(-3)>4×(-3)’과 같이 음수 를 곱하면 부등호의 방향이 바뀌므로, 곱하거나 나눌 때 양수인지 음수인지를 구별해야 한다. 이와 같은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