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한국
대한극장
극장
코리아
korea
d라이브러리
"
대한
"(으)로 총 12,94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에게 지문이 있다면, 반려견에겐 ‘이것’이 있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애니멀스’에 발표했습니다. doi: 10.3390/ani11092664 연구팀은 “개의 비문이 각각의 개에
대한
고유한 생체인식 마커로 사용될 수 있다”고 강조했죠. 고양이의 경우는 어떨까요. 고양이는 비문을 최적의 생체정보로 보지 않습니다. 코가 작아 인식률을 높이기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신 고양이는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만들어진 암석이 드뭅니다. 이 때문에 여러 개의 크고 작은 판이 언제 처음 움직였는지에
대한
증거는 거의 남아있지 않습니다. 과학자들이 간접적인 증거를 통해 40억 년~25억 년 전인 시생누대에 시작됐을 것이라 추정할 뿐이었습니다. 그런데 2016년 1월 케이티 스마트 당시 남아프리카공화국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 홍성주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혁신시스템연구본부장은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는 기초과학 그 자체를 위해 이뤄져야 한다고 말합니다. 목적을 위해 과학기술 연구를 이끌어왔던 사회 분위기는 지금도 남아 가시적인 성과를 요구합니다. 2015년, 서울대 공대가 ‘2015 서울대 공대 백서’를 통해 ... ...
[만화뉴스] 햄버거와 아이스크림, 야채보다 더 식욕 당길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햄버거나 아이스크림 같은 가공식품은 식욕을 자극해서 자꾸만 더 먹게 된다는 의견이 많았어요. 영국 브리스톨대학교 피터 로저스 교수팀은 이런 통 ... 했죠. 연구 결과, 가공식품이라고 더 식욕을 느끼는 것은 아니었어요. 대신 단맛과 짠맛 등에
대한
선호가 식욕에 영향을 주었지요 ... ...
[광고] 콩나물쌤과 함께하는 문해력 속담왕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Q. 속담과 관련해 기억 남는 일화가 있나요? 학교에서 아이들과 수업 시간에 속담에
대한
얘기를 나눈 적이 있었어요. 하루는 ‘모르는 게 약이다’라는 속담을 알려 주었는데 한 학생이 되묻더라고요. “선생님! 지난번엔 아는 게 힘이라고 하셨잖아요. 그럼 아는 건 좋은 거예요? 나쁜 거예요 ... ...
소수 통해 수학의 중요성 깨달아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시스템에 쓰이고 있는 RSA 암호의 기반이라는 사실을 알았다”라고 설명했다. 소수에
대한
생각은 수학 공부에도 도움을 준다. 소수교 부원들은 1~100까지 소수를 알고 있으면 수학 연산 속도가 빨라진다고 입을 모았다. 예를 들어 79가 소수란 점을 알고 있으면 이 수가 수학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 ...
거대 소수 왜 찾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생각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앞으로 또 어떤 거대 소수를 발견할까? 현재 가장 거
대한
메르센 소수로 추정되는 소수는 6년 전인 2018년에 발견됐다. 누구나 할 수 있으니 거대 소수 목록에 이름을 올리고 싶다면 지금 바로 도전해보자 ... ...
[Chapter5] 우리 곁에 늘 있는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한다. 예를 들어 사각형 틀 안에 100원짜리 동전을 빽빽하게 채워보자. 빈틈을 최
대한
없애려면 동전을 삼각형 격자 모양으로 배열해야 한다. 동전의 크기가 다양하면 어떨까? 100원짜리와 10원짜리 동전을 함께 채우면 가지런했던 삼각형 배열이 들쭉날쭉해질 거다. 500원짜리 동전까지 추가하면 더욱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개발 속도가 가속되면 정말 5년 뒤엔 휴머노이드 로봇을 상용화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기자는 대학, 기업 등의 로봇 전문가들에게 의견을 들었다. 우선 결론부터 말하자면 ‘5년은 택도 없다’는 게 중론이다. 그러나 전망이 마냥 어둡지만은 않다. 이성욱 고스트로보틱스 ...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작가는 2019년 작품인 ‘바다를 위한 합성 노래’와 2023년 작품인 ‘사람의 언어와 삶에
대한
우주언어인류학적 데이터’를 꼽았습니다. ‘바다를 위한 합성 노래’는 흰수염고래의 발성음과 인간의 음악을 AI로 합성해 만든 노래입니다. 원 작가는 “해당 작품을 통해 고래를 넘어 다른 생명과의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