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조"(으)로 총 7,345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공간분포를 더 정밀하게 관측한 결과, 특정 전파가 바깥쪽에서 더 많이 나오는 비대칭형 구조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doi: 10.1038/s41467-018-04767-8한국보다 먼저 구축된 해외의 전파망원경에는 이런 동시 다주파수 관측 시스템이 없다. KVN의 동시 다주파수 관측 시스템이 알려지면서 해외 천문대들이 KVN에 ... ...
- 성균관대-KAIST-고려대 국내 첫 AI대학원 수업 들어보니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하드웨어 과목도 개설됐다. 또 ‘병렬및분산컴퓨팅’ ‘SW-HW 통합설계론’ ‘인공지능 구조 최적화’ 등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융합한 과목도 3개 포함됐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과목의 비율은 약 2대 1이다.성균관대 인공지능학과는 이번에 석사와 박사과정을 포함해 총 25명을 선발했다. ... ...
- [수학동아10주년 특별인터뷰] 오성진 UC버클리 수학과 교수, 수학실력은 지수함수처럼!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수학의 재미를 느꼈어요. 논리적으로 딱 맞아 떨어지는 수학의 엄밀함과 아름다운 구조를 알게 된 거죠. 중학생 때는 학원에서 문제 푸는 요령과 기술만 알려줬기 때문에 수학이 재미없는 학문이라고 생각했어요. 왜 풀어야 하는지도 모르겠고, 저보다 문제를 잘 푸는 친구도 많아서 공부하기 싫었죠 ... ...
- [스타샘 수학꿀팁] 수학을 맛있게 요리하는 비법수학동아 l2019년 10호
- 이해하는 게 관건이다. 2학년 정호진 학생은 “문제 푸는 방법을 알아도 막상 그림으로 구조화하는 건 어렵다”며, “그만큼 정확하게 개념을 알고 문제를 푸는 게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밝혔다. ‘페이퍼 프로토타입’ 수행평가도 있다. 후배들이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앱을 ... ...
- 몸속으로 들어간 바다의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무너져버려요. 하지만 말미잘 단백질을 이용하면 단단함을 유지하기 때문에 정교한 입체구조를 만들 수 있답니다. ┼인터뷰 “홍합 없이 홍합 단백질을 만들 수 있어요” _차형준(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Q 홍합 단백질은 홍합에서 직접 채취하시나요? 아니에요. 홍합 단백질 1g을 ... ...
- 지능×뉴런 지능은 어디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촬영 자료 등을 비교했다. 그 결과 전두엽-두정엽 사이는 물론 두정엽-소뇌 사이에서도 구조 네트워크가 다양한 활동을 위해 지능이 발현되는 과정에서 관찰됐고, 측두엽과 전두엽에서도 이런 상관관계가 확인됐다. 지능과 관련돼 있다고 알려졌던 두 영역 이외에 다른 부위도 지능 발현에 활발하게 ... ...
- 지능×유전 지능도 노력하면 좋아지나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스마트폰 사용, TV 시청, 게임 등을 즐기는 스크린 시간(screen time)이 지나치게 많을수록 뇌 구조의 연결성을 낮춰 인지 등 지능과 관련된 능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좋은 지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일단 인지기능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영양소를 섭취하는 등 좋은 식습관을 ... ...
- Q. 방류하면 1년 안에 동해가 오염된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환경방사능평가실 책임연구원은 “방출 시 오염수의 조건과 해양 내부의 염분 구조, 바람 세기 등 해양 조건을 정확하게 알아야 오염수의 확산을 예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국 정부가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통해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방안과 시기를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일본에 거듭 ... ...
- 흔하지만 소중한 땅속의 보물 반도체의 아이콘, 규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만든다.실리콘은 인간의 피부 조직과 매우 흡사하면서도 체내에서 안정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 체내 보형물 재료로도 사용된다. 고온에서 환경호르몬을 배출하지 않아 고온 살균이 필요한 아기 젖병의 꼭지도 실리콘으로 만든다.규소는 생명체가 생명을 유지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 ...
- [수학뉴스]키리가미로 어떤 모양이든 만들 수 있다수학동아 l2019년 10호
- 만들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이 방법을 물질의 절단 패턴을 응용한 건축 구조물을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8월 19일자에 게재됐습니다.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