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스페셜
"
학과
"(으)로 총 1,313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미생물학(단백질생화학) 박사 1981~1985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생물
학과
박사후 연구원 1985~200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원, 책임연구원 2000~현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 2006~2008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MBA 1997~2002 과학기술부 창의적연구진흥사업 ... ...
“바이오 인재 양성은 학교책임? 산학연 모두의 몫!”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신성장기술본부장 2005년~2008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 2009년~현재 순천향대 의료생명공
학과
교수 2009년~현재 순천향대 SCH 의약바이오인재양성센터 센터장 2010년~2011년 순천향대 의료과학대 학장 2011년~현재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회장 2011년~현재 세계미생물학회연합 집행위원회 이사 ※ 이 ... ...
하이힐 적당히 신으면 발목 튼튼해진다?
채널A
l
2013.04.25
오히려 발목이 튼튼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윤범철 / 고려대 물리치료
학과
교수] 우리가 발목을 다칠 때 발목이 안쪽으로 돌아가서 바깥쪽 인대나 근육이 다치기 쉬운데, 하이일을 신으면 바깥쪽 근육이 발달해서 안쪽이 돌아가는 걸 잡아주는, 발목 안정성을 갖게 해주는 장점이 ... ...
암흑물질, 아기 우주 나이 알려주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질문이다." - 밀란 쿤데라,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지난해 영국 옥스퍼드대 물리
학과
프랭크 클로우즈 명예교수의 책 ‘Antimatter(반물질)’을 번역하다 고민스런 상황에 빠졌다. 책에서 우주 나이를 ‘fourteen billion years’라고 쓰고 있는데 무심코 ‘140억 년’이라고 번역했다가 문득 ‘이건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작동 방식 그대로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한다. 미국 네브라스카-링컨대 물리천문
학과
허먼 바텔란 교수팀은 첨단 나노기술과 고감도 검출장비를 써서 3년간 고생한 끝에 파인만의 구상대로 진행한 실험에서 멋진 데이터를 얻어내는데 성공했다고 ‘새물리학저널’ 3월 14일자에 발표했다. ... ...
엄마도 모르는 모유의 진실, 알고보니 ‘헉’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환경에서 트리버스-윌라드 가설이 입증됨을 처음으로 보인 사례다. 미국 미시건대 인류
학과
마사코 푸지타 교수팀은 2012년 9월 ‘미국 자연인류학저널’에 실린 논문에서 아프리카 케냐의 농업목축을 하는 아리알(Ariaal) 부족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경제적 지위와 자녀 성별에 따른 모유의 성분을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정말 아무런 관련이 없을까? ●같은 제목 논문 세 편 연달아 내 미국 하버포드대 천문
학과
의 스티븐 바운 교수는 ‘유럽물리학저널 H’ 1월 21일자 온라인판에 흥미로운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 제목은 ‘프리츠 하젠욀과 E=mc²’. 바운 교수는 천체물리학자이면서 과학사에도 관심이 많은 것 같은데 이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안식년으로 프랑스 파리 파스퇴르연구소에 머물던 우즈는 그곳에서 일리노이대 미생물
학과
졸 스피겔먼 교수를 만났다. 스피겔먼은 우즈의 천재성에 매료돼 1964년 그를 일리노이대로 끌어들였다. 이곳에서 유전자 부호 해독 연구를 계속하면서 우즈는 DNA와 단백질 사이를 매개하는 RNA가 상당히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떠난 아론 샛킨(Aaron Shatkin)도 그 가운데 한 명이다. 샛킨은 1956년 미국 보든칼리지 화
학과
를 수석으로 졸업한 뒤 록펠러대의 에드워드 테이텀 교수의 실험실에서 대학원 생활을 했다. 테이텀은 1958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샛킨은 항생제 액티노마이신 D가 전령RNA의 합성을 방해해 작용한다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기여한 결정학자 20세기 후반 생명과학이 눈부시게 발전하게 만든 두 축은 분자생물
학과
구조생물학이라고 할 수 있다. 클로닝(제한효소를 이용해 DNA를 조작하는 과정)과 PCR(중합효소연쇄반응)로 대표되는 분자생물학 기법이 유전자를 마음대로 갖고 놀게 했다면, 핵산과 단백질 3차원 구조를 원자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