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스페셜
"
학과
"(으)로 총 1,313건 검색되었습니다.
“국가 R&D 효율 높이기… 정책연구시스템부터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4.05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 4인이 꼽은 미래 성장동력 R&D 발전전략 ① “R&D 주도권, 대
학과
출연연으로 이양해 상호경쟁보다는 상호협력 이끌어야” ② “과학기술이 산업화로 이어지도록 과학기술경영 인력 키워야” ③ “R&D 목표를 공공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둬야” ④ “R&D 지원·관리 기관 예산 ... ...
“신약 1g 가격 순금의 6만배”
동아사이언스
l
2010.03.23
지원비용 5%에 불과… 효과적 지원 필요 김대경 위원장은 1976년 ~ 1983년 서울대학교 제약
학과
1984년 ~ 1986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약학 (석사) 1986년 ~ 1990년 일본 동경대학 약학 (박사) 1991년 ~ 1994년 미국 하바드의과대학교 MGH연구소 연구원 1993년 ~ 1994년 미국심장협회 책임연구원 1994년 ~ 2000년 중앙대학교 ... ...
“육종센터, 전경이 24시간 지키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0.02.23
해양수산부 수산정책과장 2008년 농림수산식품부 수산정책관 2008년 한국해양대 해운경영
학과
박사 2009년 국립수산과학원장(현) --------------------------------------------------------------------------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 ...
한국 바이오에는 ‘B&D’가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2.09
다국적 기업의 틈새에서 우리나라가 살기 위한 전략으로 이같은 방안을 제시했다. 대
학과
기업이 공통의 관심사를 갖고 연구를 해야 한다는 얘기다. 그는 “내부의 자원만을 활용하는 폐쇄적인 R&D 시스템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내외부의 다양한 원천과 아이디어, 역량을 활용해야 한다”고 ... ...
“농업, 첨단 산업으로 진화중”
동아사이언스
l
2010.01.14
역할 분담을 철저히 하자 김재수 청장은 1977년 제21회 행정고시 합격 1978년 경북대 경제
학과
학사 1978년 국세청, 농수산부 기획예산 유통과 행정사무관 1984년 서울대 행정대학원 석사 1988년 미국 미시간주립대 경제학 석사 1990년 농어촌복지담당관(서기관) 1991년 통상협력1담당관 1992년 ... ...
“농식품산업기술에 ‘씽크탱크’가 떴다”
동아사이언스
l
2009.11.11
경제
학과
학사 1979년 제23회 행정고시 합격 1989년 미국 아이오와주립대학교 대학원 행정
학과
1980년~1993년 병무청 사무관, 농림부 국제협력과 축정과 사무관 1993년 행정쇄신위원회 국무총리행정조정실 과장 1994년 경제협력개발기구 파견 1996년 농림부 농촌인력과장 1997년 농림부 장관비서관 1998년 ... ...
“여성 연구 인력 많아야 멋진 기업”
동아사이언스
l
2009.10.29
연구원 2006년~2008년 한국과학재단 선임직 이사 2004년~현재 연세대 화공생명공
학과
교수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향후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됩니다. ※ 무단 전제, 재배포를 ... ...
“부임 첫 해 5000만원 빚내 연구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13
미국 하버드의대 연구교수 2004년~2005년 미국 하버드의대 교수 2005년~현재 한양대 생명공
학과
부교수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향후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됩니다. ※ 무단 전제, ... ...
“BT산업 육성의 선결조건은 융복합에 강한 인재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09.09.02
-------------------------------------------------------------------------- 이세경 총장은 1969년 서울대 물리
학과
(학사) 1973년 미국 템플대 대학원 물리학 (석사) 1978년 미국 일리노이대 대학원 물리학 (박사) 1970 ~ 1972년 미국 템플대 조교수 1972 ~ 1978년 미국 일리노이대 재료연구센터 연구원 1978 ~ 1979년 미국 연방표준국 ... ...
“신약 개발 성공하려면 변리사부터 뽑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09.06.16
회장으로 과학기술자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1989년 서울대 제약
학과
를 졸업하고 1997년 같은 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약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1년 제약회사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연구원으로 취업해 미국 제약업계에 발을 들여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