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학과"(으)로 총 1,31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떠난 아론 샛킨(Aaron Shatkin)도 그 가운데 한 명이다. 샛킨은 1956년 미국 보든칼리지 화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한 뒤 록펠러대의 에드워드 테이텀 교수의 실험실에서 대학원 생활을 했다. 테이텀은 1958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샛킨은 항생제 액티노마이신 D가 전령RNA의 합성을 방해해 작용한다는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기여한 결정학자 20세기 후반 생명과학이 눈부시게 발전하게 만든 두 축은 분자생물학과 구조생물학이라고 할 수 있다. 클로닝(제한효소를 이용해 DNA를 조작하는 과정)과 PCR(중합효소연쇄반응)로 대표되는 분자생물학 기법이 유전자를 마음대로 갖고 놀게 했다면, 핵산과 단백질 3차원 구조를 원자 ...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참여한 뒤, 미래는 생물학의 시대가 되리라고 판단하고 펜실베이니아대 생물학과 대학원에 들어갔지만 흥미를 느끼지 못하다가 1947년 우연히 X선 결정학 논문을 읽고 다시 물리학으로 진로를 바꿨다. 같은 해 소설가 앤 콜쿤과 결혼했고 영국으로 건너가 1951년 옥스퍼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 ...
- [웹툰]별 헤는 밤KOITA l2013.04.23
- 밤하늘을 쳐다보며 이 별은 무슨 별 저 별은 무슨 별 담소를 나누던 우리는, 천문우주학과의 ‘대중 천문 연구실!!’ 이었습니다. 우리는 어떻게 하면 밤하늘이 생소한 대중들에게 재미있는 천문학 강의를 할 수 있을까 밤낮으로 고민하고 연구하며, 별학교를 통해 직접 초등학생 중학생 심지어 ... ...
- 과학수사도 ‘콘트롤 타워’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 l2013.03.31
- 국방부, 국토해양부 등이 제각각 법과학 관련 연구·시험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법과학과 뗄 수 없는 부검 분야는 보건복지부가 담당한다. 여기다 각종 화학시험기법, 생명과학적 분석방법 등은 미래창조과학부를 통해 지원받아야 한다. 이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법과학 연구를 이끌 ... ...
- 신약, 유전체, 뇌과학 투자 늘어난다동아사이언스 l2013.01.13
- BT개발의 국민공감대를 이끌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조류인플루엔자 등 생명학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하면 국민들은 위기를 느낄 수 밖에 없다”며 “우리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지 국민에게 알리도록 적절히 분석하고 공부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수익 ... ...
- “기초 연구에 투자한 만큼 성과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2.10.29
-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분자생물학연구소 연구원 1983~현재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동물학과 교수 1990~2000년 영국 웰컴/CRC 세포생물학및암 연구소(2001년 거던연구소로 명칭 변경) 2001~현재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거던연구소 소장 1989년 울프상 의학부문 2009년 알버트 래스커 기초의학연구상 2012년 ... ...
- “범부처에 맞는 ‘옷’ 입혀주면 2020년에 글로벌 신약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2.09.24
- 연구소장/부사장 2007년 7월~2011년 8월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약리학과/마취통증의학과 교수 2007년 7월~2011년 8월 서울아산병원 임상연구센터 소장 2008년 1월~2011년 8월 국가임상시험사업단 부단장 2011년 9월~현재 (재)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단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 ...
- “환자를 우선한 연구가 상업화도 빠르게 만들어”동아사이언스 l2012.09.10
- 서울대 의대 의학과 학사 1979년 서울대 대학원 병리학과 석사 1983년 서울대 대학원 병리학과 박사 1983년~1985년 서울대 의대 전임강사, 조교수 1985년~1987년 미국 하버드대 의대 다나파버 암센터 연구원 1987년~1989년 서울대 암연구소 유전학연구부 부장 1990년~1994년 서울대 의대 병리학교실 부교수 1995년 ... ...
- “교육 선진화도 못하면서 바이오선진화 꿈도 꾸지마라”동아사이언스 l2012.08.28
- 교수는 1977년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 학사 1979년 KAIST 생물공학과 석사 1983년 KAIST 생물공학과 박사 1983~1989년 미국 MIT대 박사후연구원 1989~1994년 미국 코넬대 의대 조교수 1994~1998년 미국 테네시대 의대 부교수 1998~2011년 미국 하버드대 의대 부교수 및 분자신경생물연구실 소장 2011~현재 미국 하버드대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