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에서 통한 수학 게임 앱, 토도수학수학동아 l2018년 12호
- 2가지 게임으로 즐기면서 수학 개념을 익히는 애플리케이션(앱)이 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과 아프리카에서도 아이들이 게임을 통해 수학을 자연스럽게 익히고 있다. 그런데 이를 만든 사람은 전설의 게임 개발자라고 한다. 수학 게임 앱을 만들게 된 계기는 무엇일까? 코끼리와 생쥐가 ... ...
- 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우리나라에서도 아마추어 과학자들이 활약할 기회는 있어. 최근엔 냄새나는 똥으로도 과학에 도움을 줄 수 있대. 대체 무슨 말이냐고? 한국인의 장 프로젝트, 스마일바이오미 시작!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의대 연구팀이 ‘미국 장 프로젝트’의 주요 결과를 발표했어요. 미국 장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국립백두대간 수목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이 호랑이는 100여 년 전만해도 한반도 백두대간을 주름잡았던 ‘시베리아호랑이’예요. 우리나라에서는 ‘한국호랑이’, ‘백두산호랑이’라고도 부른답니다.” 일제강점기 이후, 한국에서는 호랑이를 더는 찾아볼 수 없었어요.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호랑이가 살던 숲을 재현하고, 여기에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북극의 온난화가 가속화를 이해했던 것처럼 말입니다. 북극에서의 온난화 가속화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중위도에 살고 있는 인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북극 온난화는 겨울철 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 지역의 한파를 유발합니다. 인류가 내뿜은 이산화탄소가 기후 피드백 효과를 일으켜 ...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과학동아 l2018년 11호
-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은 2016년 52.5kg에서 2017년 55.89kg으로 늘었다. 육류 소비량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2016년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인구는 현재 74억 명에서 2050년 97억 명으로 증가하고, 아울러 연간 육류 소비량도 지금보다 70% 이상 늘 것으로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첫걸음 기자단 혜택 소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질문을 던지며 해답을 찾아가는 전시와 교육의 공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약 7500점 이상의 다양한 해양생물 표본이 전시되어 있고, 멸종위기의 생물자원을 보존하기 위해 지어졌지요. 그 중 인상적인 생물을 소개할게요. 철갑상어는 이름에 ‘상어’가 있어 흔히 ... ...
- 중국을 꿈꾸는 과학자들에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이를 위해서 중국어 습득에 힘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더불어 중국인들은 소통에 있어 우리나라에 비해 매우 소극적이어서 수동적으로 시키는 일만 하면 본인의 업적을 이루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학과나 부서의 방향 전략 등을 잘 이해하는 모습을 보여야 주변에서 ... ...
- 건국대 상허1급 장학생 백하나 - “백지 노트와 오답 노트 덕 봤어요”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생명을 직접 살릴 수 있는 수의사가 가장 보람 있고 멋있게 느껴졌다”며 “특히 우리나라에 야생동물을 돌볼 수 있는 수의사가 많지 않다는 기사를 접한 뒤 야생동물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수의사가 되겠다는 꿈을 가졌다”고 말했다. 그는 이제 수의사라는 자신의 꿈에 한 발짝 다가가고 있다. ... ...
- Part 3. 참고래, 골격표본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연결하면,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된답니다. 이 과정을 거쳐 완성된 참고래 골격표본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참고래 표본이 될 거예요. 현재 부산 기장에 위치한 국립수산과학원 전시 공간에 참고래의 골격 표본이 있지만, 이 표본은 10m 정도에 불과하거든요. 비록 이번 참고래의 표본도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고온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는 품종이 필요하다. 당장 우리나라만 보더라도 봄철 기온이 상승하고 강우가 잦아지면서 밀에 싹이 나는 비율이 5~15배로 늘었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이 5월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평균 기온이 1도 상승함에 따라 이삭 패는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