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세계는 지금 우주 요격 기술 경쟁 중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불안정한 안보 상황에 놓여 있는 만큼 우주가 군사적으로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우리나라
도 21세기의 전략적 고지인 우주를 장악해야 하며, 이를 위해 우주 산업을 육성해 미래 우주전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 ...
[Issue] 가계동향조사 ‘통계 오류’ 논란 쟁점은?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관련 통계로, 분기 및 연간 기준으로 작성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즉 분기별로
우리나라
가구의 소득과 소비 수준을 시의성 있게 파악하는 지표이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용도로 사용됐다. 첫 번째는 소비자물가지수를 작성하기 위한 가중치를 계산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사용됐다. 두 ... ...
빛의 속력으로 정의한 ‘완벽한 단위’ 미터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나라간 기술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역할이 더욱 막중해졌다”고 말했다. 실제로
우리나라
의 기업이 기술을 다른 나라에 수출하려면 국제적으로 공인된 기관에서 발급한 교정 및 측정성적서를 제출해야 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전세계 측정 표준대표기관과 함께 ‘CIPM(국제도량형위원회) MRA ... ...
컴퍼스는 가라! 이제 수학 공부는 알지오매스로~
수학동아
l
2018년 10호
교육에 딱 맞는 ‘알지오매스’를 만들었다.알지오매스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은 눈금 없는 자와 컴퍼스만으로 작도하는 법을 배운다. 그러나 정해진 수업 시간 내에 해결해야 하니 시간에 쫓겨 다양한 도형을 작도해 볼 수 없다. 알지오매스를 이용하면 수정도 ... ...
오피스 없이도 문서 본다! 사이냅소프트
수학동아
l
2018년 10호
Q 프로그래머 외에 어떤 직업이 SW와 관련있나요?‘QA엔지니어’가 있습니다. 아직
우리나라
에서는 생소한 직업입니다. QA는 영어 단어 ‘Quality Assurance’의 약자로, SW의 품질을 보증하고 SW를 테스트하는 직업입니다. QA엔지니어는 SW를 개발할 때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일본과 미국 SW 기업의 ... ...
[Culture] ‘과학 크리에이터’가 사는 법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주제로 이야기하듯 하나의 자연스러운 문화로 인식하도록 만들고 싶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에서 과학을 콘텐츠로 다루는 크리에이터가 거의 없는 이유는 너무나 자명합니다.노력한 만큼의 수익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죠. 저 역시도 본격적으로 활동한 지 이제 겨우 10개월 남짓한 새싹 단계이기 ... ...
Part 4. 독자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각축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발사 이후 2034년까지 모든 위성의 발사가 마무리 된다. 서비스는 2035년부터 시작된다.
우리나라
의 독자적인 위성이 우리 삶에 등장하게 될 멀지 않은 미래를 상상해 본다 ... ...
[Culture] 성형수술에 관한 궁금증 6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때문에 이마에 주름이 깊게 팬다. 이 원장은 “추운 북쪽지방에서 한반도로 이주해 온
우리나라
사람들은 민족의 특성상 눈꺼풀이 길게 내려와 눈을 덮는 경우가 많다”며 “이런 경우 ‘상안검거상술’로 눈을 크고 시원하게 만들면서 눈매를 살릴 수 있다”고 말했다.그는 이날 기증받은 시신을 ... ...
[Origin] 인간을 지키는 방패, 오존층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단계적으로 생산을 제한하며 대체 물질을 개발한다는 이행 세칙에 합의했습니다.
우리나라
는 1992년 2월 몬트리올 의정서에 가입했습니다.국제 사회는 이후 여러 차례 개정안을 통해 규제를 강화하고 추가 방안을 제시하면서 오존층을 보호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했습니다. 1994년 9월 16일을 ... ...
[Career] 환자 뇌파로 재활로봇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등을 개발해 상용화시켰다. 지난해 65세 이상 비중이 14%를 넘어서며 고령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
도 재활로봇을 활발히 개발하고 있다. 다만 지금까지 재활로봇의 역할은 재활치료를 보조하거나, 기존의 치료법을 로봇으로 자동화하는 수준이었다. 김종현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