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부
학업
연구
수업
배우기
면학
스터디
뉴스
"
학습
"(으)로 총 3,053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대-구글, AI 분야 협력 본격 스타트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위한 기계
학습
’을 강의한다. 김 교수는 “구글-서울대 교육과정을 통해 최신 기계
학습
기술과 생물 데이터가 만나 드라마틱한 결과를 내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 분야에서는 전병곤 교수와 유승주 교수가 구글 내부 개발 시스템인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의 플랫폼 ... ...
[주말N수학] 히든싱어6, 인간과 AI 대결의 승자는
수학동아
l
2020.10.03
정답률을 보였다. 생각보다 AI의 정확도가 낮은 것은 AI 역시 원조가수의 원곡을 토대로
학습
하기 때문에 나이가 들어 원조가수의 목소리가 변하거나 창법이 바뀐 가수의 목소리는 평균제곱오차가 커 판단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24명의 참가자 중 가장 답을 많이 맞힌 인간 우승자와 AI의 ... ...
[AI대학원 가이드](하) 교수·학생이 말하는 '합격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20.09.30
쉽지 않은 만큼 얕보고 단순하게 접근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곽수하 교수는 “AI를
학습
해볼 수 있는 환경이 많이 조성돼 사람들이 AI 쪽에 많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며 “당연히 도전하는 것을 장려하고 AI 쪽이 비전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너무 쉽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 ...
[과학게시판]'2020 가을 온라인 사이언스데이'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9.30
구축사업’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 사업은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에 필수적인 인공지능
학습
용 데이터를 대규모로 구축해 개방하는 사업으로 2025년까지 총 2조5000억 원이 투입된다. 현재 584개 기업과 기관이 선정돼 10대 분야에서 150종의 데이터 구축에 착수했다. 출범식에는 장석영 과기정통부 ... ...
뇌가 낯선 공간을 기억하는 원리 밝혀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이끼 세포 역시 과립세포와 상호작용해 공간 기억에 관여했다. 이끼 세포 자신은 공간을
학습
할 때 이렇다 할 변화가 없지만, 이끼 세포의 활동이 과립세포가 사물의 위치정보를 공간 기억으로 바꾸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세바스천 로열 책임연구원은 “이 연구 결과는 인공지능 기반의 신경 공학 ... ...
고려대팀 의학과 생물학 질의응답 AI 국제대회서 2년 연속 우승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거의 만점에 가까운 점수를 받았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의생명 도메인의 텍스트를
학습
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의생명 질의응답 시스템의 성능을 유의미한 수준까지 큰 폭으로 개선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며 “사람이 읽기에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질문에 대한 답을 할 수 있는 ... ...
[AI대학원 가이드] (중) AI교수 5인이 말했다 "AI대학원에선 이런 공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좋은 교수님들이 계속 들어오시면서 믿음이 쌓였다”며 “기계
학습
분야에서도 강화
학습
을 더 많이 연구하고 싶다”고 말했다. 강민국 포스텍 AI대학원 석사과정생은 “AI 대학원에서는 내가 원하는 공부를 할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지원했다”며 “사람과 같이 그림을 그릴 수 있는 AI를 만드는 ... ...
'위조상품 잡는 AI' 실증랩 대전에 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23년까지 총 227억 원이 지원된다. 관세청이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고 과기정통부가 데이터
학습
을 지원하고 대전시가 실증랩 공간을 제공한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데이터 댐 기반의 혁신적 AI 서비스 개발이 본격화될 것”이라며 “통관 분야뿐만 아니라 의료·에너지 등 ... ...
韓-英-中-日 4개 국어 동시 소통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7
Reading Comprehension)’ 기술이 사용됐다. 기계독해는 AI가 질문하고 답하기를 반복적으로
학습
해 스스로 문제를 분석하고 질문에 최적화된 답안을 찾아내는 기술이다. 김 실장은 “국회도서관의 ‘법률 질의응답 시스템’에 엑소브레인이 채택돼 지난해부터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며 “올해 안에 ... ...
[AI대학원 가이드] (상)난다 긴다 하는 AI전문가들, 어디서 공부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9.26
'알파고'팀의 모습이다. 연합뉴스 제공 인공지능(AI)은 시대의 화두가 된 것 같다. 이미
학습
과 추론, 지각 등 일부 능력에서는 인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압도하는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더욱 강력한 AI를 누가 먼저 개발하냐에 따라 전 세계 패권까지 바뀔 수 있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AI에 전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