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정
허가
승낙
시인
찬성
수긍
찬동
뉴스
"
승인
"(으)로 총 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18일 뱀·파충류 매력 강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14
개방형 무선 접속 네트워크 얼라이언스 nGRG 기술 감독 위원회에서 연구항목이 최종
승인
됐다. 이재승 ETRI 공간무선전송연구실 전문위원이 해당 연구항목의 의장격인 라포처(Rapporteur)로 선임돼 연구항목을 주도해 나갈 예정이다. ■ 고등과학원 16일 고등과학원 8호관 1층 8101호에서 ‘동기와 ... ...
알츠하이머 치료제 국내 투약 본격화…"사전 뇌MRI 검사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5.01.13
레카네맙)는 알츠하이머병 치료를 위한 항체 치료제다. 2023년 7월 미국식품의약국(FDA)
승인
을 받았으며 한국은 지난해 5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다. 레켐비는 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아밀로이드베타(Aβ)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아 뇌에 축적된 플라크(찌꺼기)를 제거하거나 축적되는 것을 ... ...
두번째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제, 국내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1.12
신약 후보물질 개발에 뛰어들었지만 끝내 개발 중단을 선언했다. FDA
승인
을 받아낸 레즈디프라는 간의 지방 대사를 조절하는 갑상샘 호르몬에 주목했다. 갑상샘 호르몬 수용체 중에서도 콜레스테롤 대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베타(β)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이를 통해 간에 축적된 ... ...
영국 바이오뱅크 '역대 최대' 단백질 연구 돌입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데 약 1년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분석이 완료된 데이터는 2026년부터 바이오뱅크가
승인
한 연구진 12명에게 순차적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전체 데이터는 2027년까지 영국 바이오뱅크의 연구분석 플랫폼에 추가될 예정이다. 2006년 시작된 영국 바이오뱅크는 대규모 인체 데이터 및 자원 관리 ... ...
모든 원전 사고 대응 ‘사고관리계획서' 10년만에 국내 첫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3호기 준공 목표는 2032년 10월, 4호기는 2033년 10월이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사고관리계획서
승인
에 따라 안전설비 운용 인력을 마련하고 정기적인 사고관리 훈련 등을 실시한다. 원안위는 고리 2·3·4호기 원전 등의 사고관리계획서도 순차적으로 심의할 예정이다. 이날 원안위에서는 2025년 원자력안전 ... ...
담배 금단증상 극복, 뇌 속 신경 메커니즘에서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8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식품의약국(FDA)에서 이미
승인
된 파킨슨병 치료제인 ‘프로싸이클리딘’을 니코틴 금단 치료제로 활용할 가능성을 검토했다. 프로싸이클리딘은 콜린성 중간뉴런 억제 효과를 모방할 수 있어 니코틴 금단으로 인한 신체적 증상을 ... ...
제이엘케이, 두개내출혈 검출 솔루션 美 FDA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1.06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인허가는 미국 FDA 별도 추가보완 없이 단번에
승인
받았다”며 “그동안 다수의 해외 인허가 진행으로 포트폴리오를 쌓아왔던 제이엘케이의 자체 인허가 역량이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
1월 과학기술인상에 최형진…비만치료제 식욕억제 기전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01
1 기반 치료제는 2005년 당뇨병 치료제로, 2014년에는 비만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을 받아 널리 사용됐다. GLP-1 기반 비만치료제의 효과가 입증되며 수요가 늘고 있지만 GLP-1이 정확히 뇌의 어느 부위에 작용해 식욕을 억제하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GLP-1 기반 ... ...
면역항암 효과 높이는 단백질 발견…장내미생물서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4.12.30
고려할 때 생균 대신 미생물 단백질을 활용하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신약은 개발, 생산,
승인
과정에서 큰 장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또한 기존 분변이식술(FMT)을 활용한 면역항암 병용치료에서 TANB77이 풍부한 공여자 분변을 선별해 이식하면 면역항암치료 성공률을 더욱 높일 수 ... ...
새해는 뱀의 해…신약 소재 가능성 드러난 뱀 독소의 재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2.30
활용한 신약 개발의 역사는 짧지 않다. 미국식품의약국(FDA)과 유럽의약품청(EMA)이 최초로
승인
한 동물 독소 기반 약물인 '캡토프릴'이 뱀 독소 기반 약물이다. 혈관수축효과를 가진 호르몬 안지오텐신(ACE) 생성을 차단하는 캡토프릴은 현재 전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고혈압 치료제로 알려졌다.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