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동양 vs 서양, 누가 먼저 찾았을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태어난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1436년에 사망한 알 카시는 정8억 530만 6368각형을 이용해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14번째 자릿수까지 정확하게 맞혔습니다. 1500년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어떤 수학자도 알 카시가 구한 것보다 더 정확한 값을 제시하지 못했죠 ... ...
- [기획] 엉뚱한 증명의 귀재, 수학 유튜브 크리에이터 로지컬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동안 제가 직접 π의 소수점 아래 자릿수를 하나씩 읽고 있었던 것은 아니에요. 코딩을 이용해 π를 읽는 프로그램을 만들었죠. 향후 제 채널에서 코딩도 함께 다룰 계획이 있어 기획한 영상이었습니다. Q ‘로지컬 패러디’ 영상이 유튜브에 올라올 만큼 반응이 뜨겁습니다. 어떤 기분인가요 ... ...
- [수담수담] 마음의 공식을 알면 수학 공식이 보인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소설을 쓰거나 영화나 광고를 만들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 현대 심리학에서는 확률을 이용한 통계학을 많이 활용해요. 수학자로서 확률론을 공부했던 저는 이해하기 쉬웠죠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자기 자신으로 보내는 치환)은 홀수개 호환의 합성으로 나타낼 수 없음을 보여라. 이를 이용해 짝수 개 호환의 합성으로 나타낼 수도 있고 홀수 개 호환의 합성으로도 나타낼 수 있는 치환은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라. 문제② Sn의 임의의 치환은 자기 자신을 n!번 합성하면 항등치환이 됨을 보여라 ...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창조했다. 한편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는 작품활동 내내 밝고 다양한 색채를 이용한 일관된 스타일을 고수하며 인상주의 대표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아래 그래프에서 S값이 클수록 색상대비가 높다는 뜻으로, 몬드리안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대비가 뚜렷한 그림을 그렸다. 또 몬드리안 작품의 ...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JAXA) 국제 공동연구팀은 금성에서 운용 중인 금성탐사선 ‘아카쓰키’의 자료를 이용해 금성 대기가 반사하는 태양빛이 지구처럼 규칙적으로 변한다는 사실을 지난해 11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습니다. doi: 10.1038/s41467-020-19385-6금성의 밝기는 4~5일 주기로 변하고 있었습니다. 금성은 ...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가족 및 친지로부터 전파된 사례였고 18명(14%)은 학원 및 개인교습 중 전파, 8명(6%)은 다중이용시설에서 전파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학교에서 전파된 사례는 3명(2%)뿐으로 나타났지요.이는 학교가 감염병 확산의 온상이 될 거라고 생각했던 사람들의 예상과 반대였습니다. 정 청장은 논문에서 ... ...
- 현실로 다가온 위기, 변화로 맞서는 대학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대체 불가능한 인재를 배출하기 위한 시도”라며 “올해 진입한 학생들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신약개발’ ‘양자컴퓨터를 활용한 암호학 연구’ ‘뇌-기계 인터페이스’ 등 흥미로운 주제를 연구하고 싶어했다”라고 말했습니다.한국에서 큰 혁신을 거두지 못한 온라인 공개수업(MOOC)이 신종 ... ...
- [논문탐독] 가상 우주로 은하의 역사를 들여다 보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우리은하 주변 은하의 3차원 위치 정보를 담은 코스믹플로우(CosmicFlow)-2 자료를 이용했습니다. 여기에는 우리은하로부터 약 8억 광년 거리 이내의 은하 8000개 이상의 정보가 들어있죠. 이 관측정보를 토대로 가상 우주 안에서 큰 규모의 밀도 차이인 물질 요동(density fluctuation)을 예측합니다.논문에서는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끙끙! 지질학자는 지금 동굴 탐험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교통수단을 움직이는 석유, 요리와 난방에 쓰는 천연가스는 지질학자들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서 찾아낸 자원입니다. 석유나 천연가스는 땅속 큰 호수에 모여있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지하에 있는 암석의 좁은 틈 사이에 묻혀 있어요. 과거에 살던 생물이 바다나 호수에 쌓였다가 뜨거운 열과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