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을 영화처럼 만드는 무채색의 마법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검은색에 가까울수록 묵직함, 공포, 권위, 우아함 등의 느낌을 주죠. 무채색만을 이용해 제작한 게임은 어떨까요? 알록달록한 그래픽으로 눈길을 끄는 게임 세계에 그런 게임이 있을까 싶겠지만, 실제로 존재합니다. 덴마크의 게임개발기업 ‘플레이데드’에서 2010년에 공개한 액션어드벤처 게임인 ... ...
- [이달의 수학자] 나라를 구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수학의 기초’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집합론에서 특수한 집합을 설명할 때 프랙털을 이용하는 것을 보면, 시에르핀스키가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을 고안한 것도 우연은 아닐 겁니다.그러나 시에르핀스키의 일생에 수학만 있던 것은 아닙니다. 1차 세계대전 이후 일어난 폴란드-소련 전쟁에서 ... ...
- [한페이지 뉴스] 10월 발사 ‘누리호’ 첫 연소시험 3월엔 ‘차세대중형위성’ 발사과학동아 l2021년 03호
- 300t의 추력을 낸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실제 발사 때 사용할 자동 발사소프트웨어를 이용해 75t급 액체엔진 4기에 연료와 산화제가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연소와 통제가 문제없이 이뤄지는지를 30초간 시험했다. 4기의 엔진을 묶어서 시험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3월에는 1단 엔진에 공급된 ... ...
- [한페이지 뉴스] 액시온 존재 2배 빨리 찾는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기초과학연구원(IBS)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 연구위원은 “양자 압착 기술을 이용하면 위상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을 포기하는 대신, 진폭을 정확하게 분석해 각 주파수에서 액시온의 존재 여부를 확실하게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방법을 활용해 액시온 존재 여부를 ... ...
- [한페이지 뉴스] 공기 희박해도 OK 빛으로 비행하는 비행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LED) 빛을 비추며 시험 비행을 진행한 결과, 비행체는 정상적으로 날았고 빛을 이용해 방향까지 조절할 수 있었다. 바르가틴 교수는 “이 비행체에 센서를 부착하면 중간권의 온도와 압력, 이산화산소 수치를 조사하는 등 기후 연구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창조했다. 한편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는 작품활동 내내 밝고 다양한 색채를 이용한 일관된 스타일을 고수하며 인상주의 대표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아래 그래프에서 S값이 클수록 색상대비가 높다는 뜻으로, 몬드리안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대비가 뚜렷한 그림을 그렸다. 또 몬드리안 작품의 ...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종교에 빠져 많은 재산을 날렸다고 한다.고양이를 데려온 의원은 언어 통역 장치를 이용해서 말했다.“잘 듣거라, 지구 최강의 생물이여! 우리우리스 종족은 항상 싸움을 숭상해 왔고, 무엇보다 생물의 맨몸 싸움을 가장 위대한 게임으로 여겨 왔다. 때문에 우리는 은하계에서 가장 강한 생물들만 ... ...
- [논문탐독] 가상 우주로 은하의 역사를 들여다 보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우리은하 주변 은하의 3차원 위치 정보를 담은 코스믹플로우(CosmicFlow)-2 자료를 이용했습니다. 여기에는 우리은하로부터 약 8억 광년 거리 이내의 은하 8000개 이상의 정보가 들어있죠. 이 관측정보를 토대로 가상 우주 안에서 큰 규모의 밀도 차이인 물질 요동(density fluctuation)을 예측합니다.논문에서는 ... ...
- [특집] 인터뷰. 윤승철 탐험가가 밝히는 무인도에서 살아남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흘러가죠. [어수동] 불은 어떻게 피워요?여러 방법이 있어요. 잘 마른 나무나 부싯돌을 이용해 마찰열로 불을 피울 수 있어요. 가장 몸이 덜 힘든 방법은 투명한 비닐봉지에 물을 가득 채워 볼록렌즈처럼 만든 뒤 태양 빛을 모아 불을 피우는 거예요. [어수동] 무인도 체험을 하고 싶은 ... ...
- [지구사랑탐사대] 곤충박사 팀 김현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번데기가 되는 날을 예측해야 해요. 탈바꿈의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 관찰 기록을 이용해 예상 날짜를 계산했어요. 그다음은 ‘기다림’이에요. 예상 날짜가 다가올 쯤부터 카메라를 고정한 뒤, 촬영하고 지우고를 반복하면서 기다렸어요. 마치 경찰이 범인을 잡기 위해 잠복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