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집콕’으로 다시 주목받는 '시민과학 프로젝트'과학동아 l2021년 02호
- 9 치료제 후보물질을 찾아내는 대신 프로젝트에 참여한 시민들의 컴퓨터 연산능력을 이용해 시뮬레이션을 하는 분산 컴퓨팅 플랫폼을 활용했다.결과는 한 편의 논문으로 발표됐다. 시민들과 함께 에볼라 치료제 후보물질이었던 렘데시비르,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AIDS·에이즈) 치료제인 ... ...
- 기후위기의 마지노선, 심해가 끓고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지구 및 환경과학과 연구원팀은 기후변화를 예상할 때 사용하는 ‘일반순환모델(GCM)’을 이용해 심해 수온의 변화를 예상했다. 그 결과 당장 육상에서 온실가스의 배출이 감소하더라도 심해 수온은 2050년 이후에도 계속해서 상승할 것으로 분석됐다. doi: 10.1038/s41558-020-0773-5 심해 수온 상승이 위험한 ... ...
- 식물이 만든 독극물이라고요? 하지만 지금은 제 점심이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니코틴이 흡수되면서 신경계가 이완되고 몽롱한 느낌이 든다.담배는 니코틴의 중독성을 이용해 벌이 더 열심히 꽃가루를 옮길 수 있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2015년 영국 뉴캐슬대 연구팀은 니코틴 유사 성분인 네오니코티노이드를 꽃에 뿌렸더니 수분매개율이 40% 늘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doi: 10.1 ... ...
- [하야부사 2호] 왜 류구를 찾아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형상을 구하는 일이 까다로웠지요. 류구의 형상을 알아내기 위해 가능한 많은 망원경을 이용해 류구의 밝기 변화를 측정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저는 최고의 전문가들이 모여있는 체코 카렐대학교에 가서 그곳의 연구자들과 함께 류구의 형상 모델을 구했습니다. 이 정보는 JAXA가 하야부사 2호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설의 나무 방패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탄소-14의 수는 점차 줄어드는 거예요. 이렇게 시간이 흐르며 탄소-14가 사라지는 성질을 이용해 과학자들은 유물의 나이를 추정해요. 탄소-14의 수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반감기)은 5700년이에요. 예를 들어 유물 속의 탄소-14가 16개에서 8개로 줄어드는 덴 5700년, 4개로 줄어드는 덴 1만 ... ...
- 8년 만에 확~ 바뀐 전기요금 체계 우리집은 오를까? 내릴까?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에너지의 대부분은 석탄과 석유, 액화천연가스(LNG) 등 화석연료를 이용해 생산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석유와 LNG가 차지하는 비중이 큽니다.그런데 실시간으로 요동치는 화석연료의 값이 전기요금에 곧바로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이 계속 제기됐습니다. 이 문제를 보완하기 ... ...
- [기획] 그래프, 확률, 벡터까지 더해 램지 수 범위 좁혔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방법론을 사용했습니다. ‘벡터’는 좌표평면의 한 점을 원점 기준으로 크기와 방향을 이용해 나타내는 방법을 말합니다.연구팀은 그래프에 세 가지 색을 칠하는 경우에 대해서 그래프의 꼭짓점마다 서로 다른 좌푯값을 설정하고 이 값을 성분으로 갖는 벡터를 정의했습니다. 이 꼭짓점 벡터 중에서 ... ...
- 얼마나 알고 있니? 혐오표현 영역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독일에서는 2018년 1월부터 ‘소셜네트워크 내 법 집행 개선법’을 통해 소셜네트워크 이용자가 혐오표현을 신고하면 운영자가 24시간 내에 삭제하도록 했습니다. 스위스에서는 2020년 2월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발언을 처벌하는 법안이 국민투표를 통과했죠. 우리나라에서는 2020년 8월 전용기 ... ...
- [게임 디자인 씽킹] 컴퓨터와 대결하는 규칙을 설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나타내는 방법인 (x, y)를 이용해 정의합니다. 판과 공은 스크래치의 그리기 기능을 이용해서 만듭니다. 또 왼쪽 판은 위와 아래 방향의 화살표 키를 누를 때 각각 위, 아래로 움직이도록 코딩합니다. 2단계 움직이는 공 정의하기공은 정해진 속도와 방향으로 움직입니다. 만약 판이나 화면 ... ...
- [코로나19 업데이트] 전파 빠른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등장과학동아 l2021년 02호
- 2는 스파이크 단백질과 ACE2 단백질의 결합 이후 인체세포 표면의 가수분해효소(TMPRSS2)를 이용해 스파이크 단백질을 분해하는 과정을 거쳐 인체세포막에 융합하며 침투한다. 임페리얼칼리지런던의 보고서에 따르면, P681H 변이는 인체세포 표면 가수분해효소가 결합하는 부위에 자리잡고 있어 이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