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설의 나무 방패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탄소-14의 수는 점차 줄어드는 거예요. 이렇게 시간이 흐르며 탄소-14가 사라지는 성질을 이용해 과학자들은 유물의 나이를 추정해요. 탄소-14의 수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반감기)은 5700년이에요. 예를 들어 유물 속의 탄소-14가 16개에서 8개로 줄어드는 덴 5700년, 4개로 줄어드는 덴 1만 ... ...
- [특집] 몽골인보다 정확하다! 이미지 인식 AI의 쓰임새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색이나 가장자리, 꺾이는 각도 등의 정보를 행렬 형태로 인식해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해 이미지를 인식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에 방대한 이미지 빅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게 되면서 합성곱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이미지 인식 AI가 사람들의 시각 능력을 뛰어넘는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 ...
- [기획] 다양한 색으로 칠해 보자, 다색 램지 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해야 한다면 여러분은 어떤 방법으로 칠할 건가요? 만약 빨강, 파랑, 주황 세 가지 색을 이용해 칠한다면 가장 먼저 빨간 삼각형이 생기지 않도록 칠하고, 그런 다음 파란 삼각형이 생기지 않도록 칠하려고 할 겁니다. 하지만 빨간 삼각형이 생기지 않도록 칠하려다 보면 이내 파란 삼각형이 생기고, ... ...
- 폴리매스 정보통! 모두가 푹 빠진 폴리매스미궁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위해 색맹에 관한 스토리를 만들었죠. 문제를 만들 때는 참신하면서도 흰색과 검은색을 이용해 풀 수 있는 문제가 어떤 것이 있을지 고민했습니다. 그렇게 완성한 첫 번째 문제는 무지개의 색을 흑백으로 바꾸고 각각 알맞은 알파벳을 대입해 문장을 완성하는 문제예요. 나만의 미궁 게임을 제작하는 ... ...
- [코로나19 업데이트] 불안한 겨울에서 회복의 일상으로 코로나 블루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남극기지에서 14개월간 체류한 극지연구원 8명을 대상으로 자기공명영상(MRI)을 이용해 체류 전과 체류 14개월 뒤 뇌의 부피 변화를 알아봤다. 남극 기지에서 장기체류하는 연구원들은 외부 요인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사회적 접촉을 할 수 없게 됐다는 점에서 코로나19에 의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고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성능, 효율, 속도라는 3개 조건 사이의 균형점을 찾을 수 있다고 밝혔다.거꾸로 AI를 이용해 뇌를 분석하는 연구도 한다. 의사로 근무하다가 연구실에 합류한 차유진 연구원은 질환 진단의 성능을 높이는 연구를 하고 있다. 차 연구원은 “의사 뇌의 학습과정을 모사하는 AI 모델을 설계하면 실제 ... ...
- 아말과 톈원 1호, 화성 하늘을 두드리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톈원 1호의 궤도선에는 총 7개의 장비가, 착륙선에는 총 6개의 장비가 탑재돼 있다. 이를 이용해 표면 토양 특성과 얼음 분포를 조사하고 화성의 기후 특성과 지표면의 환경을 측정할 계획이다. 화성 전자기장과 중력, 내부 구조 등도 파악할 예정이다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사람에게 나타나는 뇌질환의 원인과 치료법을 찾아내는 연구는 실제 사람의 뇌 조직을 이용한 연구가 필수지만, 환자의 뇌 조직을 얻는 데 한계가 있다. 엄 교수는 이런 어려움을 해외 임상 연구자들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극복하고 있다. 임상 의사가 환자를 진단하며 뇌질환의 원인으로 의심되는 ... ...
- JOB 돋보기, 어떤 일을 하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넣어서 구해요. 브릭스 당도는 액체 재료의 단맛이 높아질수록 빛이 더 많이 휘는 현상을 이용해서 구할 수 있어요.새로운 소스를 만들 땐 재료를 얼마나 섞는지 나타내기 위해 ‘비와 비율’을 활용해요. 간장과 식초를 2:3으로 섞는 것과 간장과 식초를 1:1로 섞는 것은 차이가 있답니다. 농도가 높은 ... ...
- [수학게임X파일] 분수 쪼개기 놀이 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4단계에서는 분수의 크기 비교를 익힐 수 있어요. 5단계에서는 지금까지 익힌 개념을 이용한 게임이 펼쳐지고, 마지막 6단계에선 분수의 덧셈을 이해할 수 있는 게임이 진행돼요. 분수를 전혀 모르는 어린이도 게임 문제를 풀다 보면 나누기의 원리부터 분모가 다른 분수의 덧셈까지 자연스럽게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