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격언
금언
교훈
명언
경구
속어
속설
d라이브러리
"
속담
"(으)로 총 209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엄 케크에게 정승이 돼 1990년대에 하와이에 2개의 10m 망원경을 마련하게 됐다.우리나라
속담
에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말이 있다.헤일과 헤일의 뜻을 따라준 미국의 지혜로운 부호들은 죽어서 망원경을 남겼고,그 망원경들은 20세기 천문학의 발전에 ... ...
1. 태양계의 행성에 다다른 우주선들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보내는 계획을 갖고 있는데 이렇게 실패를 많이 하면 값싼 탐사선이 비지떡이라는 우리
속담
이 우주탐사에도 적용되는 것 같다.그랜드투어, 한번에 여러 행성을미국은 1963년 외행성으로 탐사선을 보내는 그랜드투어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1백75년만에 한번씩 생기는 외행성의 배열을 이용해 ... ...
긴급점검 사이버 교육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사람을 낳으면 서울로 보내고,말은 제주도로 보내라"는
속담
이 있다.교육활동의 집산지가 서울이라는 것을 단적으로 표현한 말이다.과연 사이버교육이 보편화될 미래사회에도 의미 있는 말일까.가까운 미래. 뇌성마비로 다른 사람이 알아듣기 힘들 정도로 발음이 잘 되지 않고 움직임도 불편한 ... ...
디지털로 세계를 묶은 인터넷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떠돌다가 최종 목적지에서 다시 만나 결합한다. “모로 가도 서울만 가면 된다”는 우리
속담
처럼, 경로야 어떻든 데이터가 목적지에 도달하면 되는 고등연구계획국의 생각과 맞아 떨어졌다.1969년 리클라이더의 은하네트워크는 레오너드 클라인로크의 패킷교환이론과 만났다. 고등연구계획국의 ... ...
속담
속의 날씨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①아침 무지개는 비가 올 징조다무지개는 하늘에 떠있는 빗방울에 햇빛이 반사와 굴절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 눈에 들어오는 현상이다. 아침에는 태양이 동쪽에 있으므로 무지개는 서쪽 하늘에 보인다. 우리나라는 편서풍의 영향을 받는 지역이므로 시간이 지나면 서쪽 지역의 날씨가 동쪽에 나타 ... ...
간지럼타는 배롱나무와 음악듣는 오이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주인의 발소리를 듣고 큰다”는 우리
속담
이 실은 과학적 근거가 있는 말이다. 이
속담
은 흔히 발이 닳도록 부지런히 곡식을 돌보라는 의미로 해석됐다. 그러나 사실은 곡식이 아침저녁으로 자신을 돌보러 오는 주인의 경쾌한 발소리에 성장이 촉진됐던 셈이다.음파가 직접적으로 세포의 생장에 ... ...
무지개는 왜 원형일까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무지개를 지상(紙上)에서 만나보자.“서쪽에 무지개가 서면, 소를 강가에 매지 말라”는
속담
이 있다. 이는 편서풍대에 자리잡은 우리나라에 전해오는 경험적인 일기예보다. 서쪽에 있던 비구름이 다가오면서 비가 내려 강물이 불어날 것을 예측한 말이다. 이처럼 무지개는 물방울을 몰고 다니는 ... ...
'잘 나가는' 제비의 자식 사랑 부부사랑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물고 찾아온 제비는 1%을 가능성을 실현한 매우 머리 좋고 정성스런 제비였던 셈이다.옛
속담
에 “제비가 어르면 비가 온다”고 했다. 이는 제비의 습성과 관련된 것으로 매우 과학적인 분석이라고 할 수 있다. 어른다는 것은 지면에 바싹 붙어 날면서 사람 곁을 스치고 다니는 것을 말한다. 제비의 ... ...
눈 오는 날 강아지는 왜 행복할까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불어난다.양달 토끼와 응달 토끼"응달 토끼는 살아도 양달 토끼는 못산다"는 겨울철
속담
이 있다. 양달의 토끼는 건너편 응달을 보고 아직도 눈이 녹지 않은 한겨울인 줄 알고서 움직이지 않지만, 응달의 토끼는 건너편 양달에 눈이 녹은 것을 보고 봄이 왔다고 생각해 부지런히 먹이를 찾아 나선다. ... ...
맛과 냄새의 조화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행동하는 세태를 나타내는 말로“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라는 것이 있다. 하지만 이
속담
은 사람들이 실제로 식품에 대해 보이는 경향을 나타내는 말이기도 하다.아무리 작은 단세포 생물이라도 생명유지를 위해 필요한 물질과 해로운 물질을 구별해내는 감각체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가장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