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격언
금언
교훈
명언
경구
속어
속설
d라이브러리
"
속담
"(으)로 총 209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구간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왜 제주도에만 신구간 풍속이 남아 있을까.입춘에 봄이 시작하는 유일한 지역 제주도
속담
에 ‘오뉴월에는 앉은 자리도 못 옮겨 앉는다’는 말이 있다. 고온다습한 시기에 물건을 옮기며 이사하면 뒤탈이 난다는 말이다. 신구간의 경우는 가장 추운 시기에 변소를 고치고 집을 수리하고 이사를 하면 ... ...
썰렁홈즈가 보낸 마지막 편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볼 줄 알아야 해.” mission 2 지워져도 다시 한 번‘서당 개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는
속담
처럼 탐정 개 3년이면 사건을 해결한다. 다무러는 썰렁홈즈처럼 첫 번째 문제를 간단하게 해결했다. 다음은‘○○군’을 맞히는 문제. 이번에도 뭔가 글자를 나타내는 그림이 하나 있었다. 글자의 일부가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배설물’등의우아한단어를쓴다.‘ 똥묻은개가겨묻은개나무란다’는
속담
은똥에게세상에서 최고로 더럽다는 불명예까지 덤으로 얹어 준다. 정말 똥은 더럽고 건드릴수록 구린 냄새만 날까? 똥 을 싫어하는 사람들에게 진심으로 똥이 하고 싶은 말이 있단다.‘똥 만드는 공장’의 구호A조 : ... ...
서양귀신 VS 동양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준다고 해서 대문이나 지붕에 도깨비 모양을 한 장식을 많이 했습니다. 도깨비가 들어간
속담
이 수두룩할 정도로 한국 사람들에게 친숙한 존재랍니다.하지만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도깨비의 모습은 진짜가 아니랍니다. 뿔이 달려 있고 위로 삐쭉 나온 송곳니에 원시인 같은 옷을 입은 모습은 ... ...
환자 만족 높이는 한·양방 협진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끈 뒤 한의학으로 ‘남아 있는 불씨’를 없애는 것이다.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
속담
처럼 한의학과 현대의학의 장점을 살려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진료 방법을 찾는다는 말이다. 한방과 양방의 시너지 효과일본에서는 100여년 동안 이런 연구가 매우 활발했고, 실제로 현대의학에 한의학을 ... ...
1. 신토불이는 미신인가? 과학인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알 수 있다”고 했다. 이것은 “인간은 곧 먹을거리”(Der Mensch ist was er ist)라는 독일
속담
과 우리의 ‘신토불이’라는 말과 하등 다를 것이 없다.세계 각 나라들은 저마다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생산하는 농산물도 다르다. 무엇을 먹고 무엇에 의존해 생존하며 자기만의 문화를 만들든 남들이 ... ...
벼락이 모진 놈 좋아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장마에는 벼락이 잦다. 벼락은 양전하와 음전하를 띤 구름과 구름, 혹은 구름과 지면 사이에 생기는 방전현상의 일종으로 땅으로 떨어지는 번개다. 벼락은 뾰족하 ... 땅으로 내리칠 때 벼락도 지름길을 택하는 까닭이다. 그러니 ‘모진 놈 옆에 있다가 벼락 맞는다’는
속담
이 맞는 셈이다 ... ...
새콤달콤한 건강 가꾸기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사실을 규명했다.사과는 키위와 함께 변비에도 제일 좋은 과일로 꼽힌다. 영국
속담
엔 ‘하루에 사과 하나면 의사가 필요 없다’(An apple a day keeps the doctor away)는 말이 있을 정도다.오늘이라도 집으로 가는 길에 과일 가게에 들러 원하는 ‘과일 처방전’을 한 봉지 사는 건 어떨까. 약국에서 파는 ... ...
日 독도 수로측량 계획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생태계에 대한 조사를 장기적으로 계획하고 있다.‘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속담
이 있다. 소 없는 외양간은 의미가 없다. 일본의 ‘도발’에 대응하기 보다는 ‘선점’하는 대비가 필요한 시기다 ... ...
한 번 영재는 영원한 영재?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틀을 갖추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영재 헌팅 프로젝트요즘 ‘개천에서 용 난다’는
속담
은 통하지 않는다. 지난달 19일 서울대는 2006년 신입생 중 강남구 출신은 전체의 7%라는 통계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마포구의 24배에 해당하며, 서울지역 학생의 비율은 전체의 36.6%로 조사됐다. 이런 지역과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