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격언
금언
교훈
명언
경구
속어
속설
d라이브러리
"
속담
"(으)로 총 209건 검색되었습니다.
요금내리면 휴대전화 얼마나 쓸까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전에 좋은 일이 있으면 다시 나쁜 일이 있고, 나쁜 일이 있으면 좋을 일이 있을 거라는
속담
이다. 이처럼 사람들이 과거와 반대로 움직이는 행태(음의 자기상관)를 반영해 앞으로의 행태를 예측하는 방법이 있다 ... ...
한 길 사람 속, 이제 단면으로 본다 절단영상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아주대 의대 맨눈해부학실험실 홈페이지(www.antomy.c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다.
속담
에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말이 있다. 그런 말이 통하지 않는 곳이 바로 해부학이다. 사람 속을 더욱 자세히 알려는 노력이 계속되는 한 사람 속은 더욱 드러나게 될 것이고 그만큼 ... ...
야광귀를 아시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하지 않으면 시집가서 아기를 순산하지 못한다’는 옛
속담
을 들어본 적 있나요? 이
속담
들은 왜 여인들에게 널뛰기를 권장하고 있을까요? 널뛰기는 설날과 대보름 사이에 여인들이 주로 했던 놀이였습니다. 여인들은 짚단이나 가마니 따위를 뭉쳐서 가운데를 괸 널빤지 양쪽 끝에 서서 한 사람씩 ... ...
아주 특별한 숫자 1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9호
되듯 1은 탄생이며 시작을 의미한다. 동시에 매우 작다는 의미도 갖는다. 우리나라
속담
가운데 숫자 1이 들어간 예를 찾아보자. ‘천리길도 한 걸음부터’, ‘하나를 알면 열을 안다’에서 1은 작고 보잘 것 없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작은 것이 모여 결국은 크고 많은 것을 이루어 내듯, 1은 모든 것을 ... ...
달 달 무슨 달?! 달이 너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8호
동그랗게 두르고 있는 빛을 달무리라고 해요. ‘가물 때 달무리가 있으면 비가 온다’는
속담
도 있듯이 달무리로 날씨를 예상할 수 있답니다. 달무리는 새털구름이나 털층구름처럼 얇고 넓게 펼쳐져 있는 구름 속의 얼음결정에 달빛이 굴절, 반사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예요. 이렇게 달무리가 ... ...
구름, 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관계 있는
속담
을 살펴보면
속담
에도 과학이 담겨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재미있는
속담
풀이를 통해 조상들의 지혜를 엿보기로 하자.개구리가 울면 비기압골이 접근하면 기압이 낮아진다. 그러면 습도가 높아 개구리의 호흡을 방해할 수 있다. 결국 개구리가 호흡량을 늘리기 위해 평소보다 더 ... ...
3. 수학은 돈 버는 여의봉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90% 정도를 없앨 수 있다고 한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모두 담지 말라’는 증권시장의
속담
은 바로 분산투자로 위험을 줄이라는 말이다. 맷 세토는 철저하게 분산투자의 원칙을 지켜 투자 위험을 줄였고, 전문가가 무색해 할 수익을 올렸다. 반면에 대학자는 오르는 주가를 보며 군중심리에 빠져서 ... ...
개미가 내 방에 산다구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덩치 큰 코끼리일까요? 정답은 조그만 곤충인 개미랍니다.백짓장도 맞들면 낫다’란
속담
이 있습니다. 그 교훈을 가장 잘 실천하는 존재가 바로 개미지요. 한 마리일 때는 정말 약한 존재지만 뭉쳐서 무리를 이루면 개미만큼 무서운 존재도 없답니다. 브라질에 사는 군대개미들이 무리를 지어 ... ...
사랑은 키스를 부른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꼬리가 되느니 개의 머리가 되라’(Better be the head of a dog than the tail of a lion)는 영어
속담
이 있다. 여기서 영어 단어 HEAD의 알파벳을 하나씩 바꿔서 마지막에 TAIL이 되게 할 수 있을까? 단 각 단계마다 만들어지는 단어는 사전에 있는 것이어야 한다.A- 사랑(LOVE) -살아가다(LIVE) ...
2. 공포는 마음속에 있는 거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봐도 무서운 감정이 생기기도 한다.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도 놀란다’는
속담
도 일리가 있다.이 같은 과정을 ‘공포조건화’(Fear conditioning)라고 한다. 대개 시간이 지나면 특정 대상에 대한 공포감이 점차 약해지지만 공포조건화가 심하면 정신질환에 이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난 200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