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격언
금언
교훈
명언
경구
속어
속설
d라이브러리
"
속담
"(으)로 총 209건 검색되었습니다.
라면 한 그릇으로 맛보는 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라면을 끓여 먹는 건 금기겠지만 오늘 하루만은 넘어가자. ‘예외 없는 법칙은 없다’는
속담
도 있지 않은가.물_왜 평상시 액체일까라면 하나를 끓이려면 냄비에 물을 얼마나 넣어야 할까. 얼큰한 맛이 일품인 ‘S라면’의 포장지에 있는 조리법(요리에 자신이 없을 땐 조리법을 충실히 따르면 ... ...
[의학] 다크 초콜릿은 몸에 좋은 쓴 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쓴 약이 몸에 좋다’는 우리
속담
이 외래 음식인 초콜릿에도 해당될까.소량의 다크 초콜릿을 정기적으로 먹으면 고혈압과 같은 심장혈관질환 예방에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탈리아 캄포바소 가톨릭대 로미나 디 쥬세페 박사팀은 다크 초콜릿을 하루에 6.7g, 즉 반쪽 정도 먹으면 심혈관질환을 ... ...
말을 잃은 소녀의 자아 찾기 나는, 인어공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사실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기란 쉽지 않다. ‘물에 빠지면 지푸라기라도 잡는다’는
속담
처럼 수영을 잘하는 사람이라도 물에 빠진 사람을 구조할 때는 직접 물에 뛰어들지 않고 멀리서 고무 튜브나 나무 조각을 던져주는 것이 응급구조의 상식이다.흔히 사람이 죽으면 약 12시간 뒤 관절이 ... ...
과일 맛 결정하는 ‘황금비’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것 같은 과일이 생각과 달라 후회한 경험이 있다.‘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속담
처럼 과일을 고르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과일의 ‘외모’다. 최근 일부 대형마트에서는 당도측정계로 당도를 확인하거나 시식을 한 뒤 과일을 구입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 ...
자연 속 하이테크놀러지 새 둥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말이 있다. 새 둥지가 그만큼 정교하다는 뜻이다. 프랑스 새는 얼마나 똑똑하길래 이런
속담
이 생긴 걸까. 우리나라에서는 머리 나쁜 사람을 흔히 새에 비유하지 않는가.이런 질문을 출발점으로 새 둥지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만들기 시작했고, 그 과정에서 새에 대한 편견이 여지없이 깨졌다.새 ... ...
바람 잡아 초고층 건물 보호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세기로 위로 올라갈수록 바람은 이보다 더 빨라진다.‘모난 돌이 정 맞는다’는
속담
처럼 홀로 우뚝 솟은 초고층 건물은 바람에 약하다. 바람이 초고층 건물에 일으키는 진동은 안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고층건물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어지러움과 불안감을 일으킨다. 국제표준화기구는 건물의 ... ...
2000년 조지프 르두 교수의 기억 재강화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들어도 공포로 온 몸이 얼어붙게 된다.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는
속담
에 해당하는 행동으로 이를 ‘공포조건화’라고 부른다.연구자들은 이렇게 공포를 학습한 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한쪽은 그냥 두고 다른 한쪽은 소리를 들려줘 공포반응을 유도했다. 그리고 이들 각각에 ... ...
나방, 애벌레 시절 기억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시절을 기억 못한다는
속담
으로 유명한 개구리와 달리 나방은 애벌레 시절을 기억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어요. 미국 워싱턴 조지타운대학교 마사 웨이스 교수는 각각 공기와 에틸아세테이트가 들어 있는 시험관 사이에 박각시나방의 애벌레를 넣어 두었어요. 그리고는 박각시나방 애벌레가 ... ...
수십만 고유종의 '멋진 신세계'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마다가스카르에는 ‘카멜레온처럼 한 눈은 미래에, 다른 한쪽 눈은 과거에 둔다’는
속담
이 있다. 주행성이며 단독생활을 주로 해 다른 카멜레온에게도 공격적인 성향을 띤다. 그래서인지 마다가스카르 섬에는 카멜레온이 불운을 가져다준다는 미신이 있다.게코도마뱀은 카멜레온만큼 외지 ... ...
PART2 우리는 누구나 시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타케테라는 이름이 어울린다고 생각하는지 이해하지 못했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들이
속담
의 의미도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 즉 ‘엎질러진 우유를 보고 울어봐야 소용이 없다’(It is no use crying over split milk.)는 문장을 읽고 나서 전후 문맥을 고려해 그 의미를 해석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한다는 것.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