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적
적축
누적
적립
축재
쌓아올림
쌓기
뉴스
"
집적
"(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이버 하이퍼클로바 공개…"우리말 가장 잘하는 첫 초대형 AI"
연합뉴스
l
2021.05.25
만든 GPT-3의 1천750억 개를 능가한다. 정 대표는 "'빅 AI'에서 파라미터 개수는 반도체의
집적
도와 같다"며 "파라미터 수가 증가함에 따라 AI가 풀 수 있는 새로운 문제의 해결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네이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하이퍼클로바는 외산 AI 모델과 달리 한국어를 집중적으로 ... ...
착용만 하면 자동으로 안압 모니터링하는 콘택트렌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1
무선 모니터링용 스마트 콘택트렌즈. 고감도 안압 센서-무선통신(NFC) 회로가
집적
화된 무선 모니터링용 스마트 콘택트렌즈 모식도 및 실제 사진과 제작된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구동하는 장면이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녹내장을 진단하는 지표인 안압을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모니터링하고 ... ...
[인터뷰] 백남준의 꿈에 전기를 수혈한 장인
과학동아
l
2021.05.01
세운상가는 신기술이 모이는 곳이었다. 진공관과 트랜지스터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TV,
집적
회로(IC) TV 등 새로운 기술이 나올 때마다 그는 TV를 해체하고 일본 책을 들여다보며 배워나갔다. 그는 “IC TV가 처음 들어왔을 땐 IC칩 생김새를 몰라 찾느라 별 짓을 다했다”며 “약한 IC칩을 보호하기 위해 ... ...
표준연, 1나노미터 이하 반도체 산화막 두께 측정 성공
연합뉴스
l
2021.04.30
요소에 영향을 받지 않는 실제 두께)를 측정할 수 있음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반도체
집적
회로 공정에서는 기판 산화막을 얇고 균일한 두께로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산화막은 표면을 보호하고 전자의 이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막 두께 측정을 위해 투과전자현미경(TEM), ... ...
[랩큐멘터리]저전력 회로기술로 더 많은 센서 연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7
나갈 계획이다. 심재윤 교수는 ‘초소형 무선 IoT 센서 플랫폼을 위한 나노와트
집적
회로 개발’ 공로로 2020년 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수여하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을 수상했다. 연구실은 현재 ‘확장형 양자컴퓨터 기술융합 플랫폼 센터’ 주관 연구실로 선정돼 시스템 반도체 기술을 ... ...
[과학게시판] 한양대 ERICA, 인공지능융합연구센터 개원식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4.09
효율적 연구 생태계 조성을 위해 대학 내 산재된 연구장비들을 연구 분야별로
집적
하고 전문화한 시설이다. 2020년 기준 전국 26개 대학에 33개 핵심연구지원센터를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 이번 협의회는 핵심연구지원센터 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게 목적이다. 하준석 전남대 센터장이 협의회장에 ... ...
[랩큐멘터리]데이터와 웨어러블 센서가 이끄는 축구 혁명
동아사이언스
l
2021.04.03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등에 이미 발표됐다. 연구팀은 디스플레이 센서와
집적
회로(IC) 칩 등 반도체 소자도 연구한다. 칩은 더 빠르고 더 많은 정보를 저장하고 적은 전력을 소비하도록, 디스플레이를 더 선명하고 쉽게 휠 수 있도록 만드는 게 목적이다. 반도체 공정 장비를 직접 ... ...
3D 프린팅으로 나노미터 구조물 수천개 동시에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1
이상 높일 수 있다”며 “반도체의
집적
도를 높이기 위해 시도되고 있는 3차원 반도체의
집적
도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물질인 ‘메타물질’ 제작도 용이해진다. 최만수 교수는 “현재 메타물질을 만드는 데 엄청난 비용이 소요되는데 이번에 개발한 ... ...
[랩큐멘터리]한국 반도체 기술의 청사진을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반도체의 기본인 트랜지스터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진행한다. 수십년간 트랜지스터는
집적
도를 높이고 크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메모리 반도체 선두 기업인 삼성전자나 대만의 TSMC가 생산하는 소자들은 5~7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공정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연구실은 이같은 ... ...
마지막 티켓 2장을 잡아라…AI대학원 설립 총력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성을 딴 ‘황(黃)의 법칙’이 등장할 만큼 반도체 기술이 급성장하던 때였다. 늘어난
집적
도만큼 플래시메모리 공정은 미세해졌고, 저장된 데이터에는 오류가 잘 생겼다. 이를 해결하는 게 그의 일이었다. 4년간 반도체 현장을 경험한 그는 미국 유학길에 올라 2016년 카네기멜론대에서 박사학위를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