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적
적축
누적
적립
축재
쌓아올림
쌓기
뉴스
"
집적
"(으)로 총 35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존 반도체 공정으로 인간 뇌 모방한 뉴로모픽 반도체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인식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뉴로모픽 반도체는
집적
도 개선과 비용 절감 등으로 뉴로모픽 반도체 하드웨어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KPS 위성 쏘아올릴 대형발사체 개발 추진한다
2021.07.30
있는 고체 로켓발사장과 성능 시험장을 구축한다. 발사체와 위성, 소재 부품 지역 산업
집적
거점과 거점 간 연계 역할을 할 수 있는 우주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해 재정지원과 세제 혜택을 줄 예정이다. 또 정부출연연구소와 공기업, 생산기술연구소 등 연구기관이 보유한 기반시설을 민간에 개발해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인공 나뭇잎’ 효율 3배 성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29
형성된 양자점에 적용했다. 이 기술은 양자점 기반 양자 광원 등 다양한 양자 광소자, 광
집적
회로, 디스플레이 등에 활용될 전망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 27일자에 실렸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지능형로봇연구부 이현기 책임연구원 팀이 개발 중인 ‘고정밀 마커 ... ...
KPS위성 실어나를 대형발사체 개발하고 기업 돈 버는 R&D제도로 우주산업 몸집 키운다
2021.07.29
성능 시험장을 구축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발사체와 위성, 소재 부품 지역 산업
집적
거점과 거점 간 연계 역할을 할 수 있는 우주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해 재정지원과 세제 혜택을 주기로 했다. 또 연구기관이 보유한 기반시설을 민간에 공개해 국가 우주 인프라 활용 극대화를 추진한다. ... ...
[한 토막 과학상식]AI와 자율주행의 시대, 왜 ‘3진법 반도체’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26
고성능 반도체의 필요성은 더욱 커졌지만 2진법 기반의 반도체 소자는 단위면적당
집적
도 향상을 위한 물리적 한계에 봉착한 상태다. 이에 따라 최근 학계에서는 이를 해결할 대안으로 3진법 반도체 연구가 활발하다. 연구팀은 서로 다른 문턱 전압을 갖는 두 종류의 반도체를 순차적으로 ... ...
[프리미엄 리포트]'더 작게 더 빽빽하게' 반도체
집적
기술은 지금도 '진화중'
과학동아
l
2021.07.24
보려면? [과학동아 7월호] 기획 반도체 세대교체 Part1. 더 작게 더 빽빽하게 ‘초고
집적
반도체’ [인포그래픽] 초미세회로 & 적층 패키징 Part2.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 ‘AI 반도체’ ... ...
[랩큐멘터리]다양한 자극에 변신하는 궁극의 반도체 소재를 꿈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30
밝기를 인식하는 지능형 반도체다. 최근 카메라에 주로 쓰이는 유기 이미지센서는
집적
도를 높일 수 있지만 높은 광량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연구실은 처음에는 광반도체인 포토다이오드였다가 광량이 충분히 세지면 복사기에 쓰는 밝은 빛을 읽어내는 소자로 바뀌는 기술을 개발했다 ... ...
"포스트 무어법칙 시대로"…3세대 반도체 직행 도모하는 중국
연합뉴스
l
2021.06.20
줄 담겼다. 인텔의 공동 설립자 고든 무어가 한 말에서 비롯된 '무어의 법칙'은 반도체
집적
회로의 밀집도가 18개월마다 배로 증가하는 것을 뜻한다. 중국이 거국적 과학기술 발전 전략 차원에서 '포스트 무어 시대의 전복적 기술'을 논의한 것은 미국 등 서방 선진국들이 주도하는 실리콘 웨이퍼 ... ...
[과기원은 지금] KAIST, 3차원 적층형 화합물 반도체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15
박막층을 입힌 후 상부 소자를 만드는 모놀리식 3차원
집적
을 이용한 화합물 반도체 소자
집적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실리콘 기판 위에 아날로그 신호 증폭 성능이 우수한 3-5 화합물 반도체 HEMT를 3차원으로 쌓아 올려 디지털 회로 성능이 좋은 실리콘과 잡음 특성이 우수한 화합물 특성을 ... ...
네이버 하이퍼클로바 공개…"우리말 가장 잘하는 첫 초대형 AI"
연합뉴스
l
2021.05.25
만든 GPT-3의 1천750억 개를 능가한다. 정 대표는 "'빅 AI'에서 파라미터 개수는 반도체의
집적
도와 같다"며 "파라미터 수가 증가함에 따라 AI가 풀 수 있는 새로운 문제의 해결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네이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하이퍼클로바는 외산 AI 모델과 달리 한국어를 집중적으로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