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한토막눈썹참갯지렁이는 1840년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처음 발견된 갯지렁이예요.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것과 비교한 결과, 형태와 유전적으로 모두 다른 특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어요. 그 결과 새로운 종으로 인정받게 됐답니다. 파괴된 조간대를 되살려라!높은 파도로부터 배와 시설들을 ... ...
- [Issue] 유통기한, 넘겨도 괜찮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적용해 실제 먹을 수 있는 소비기한(Use by date)보다 짧게 설정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2년에 소비기한 표시를 시범적으로 시행한 적이 있는데 과자류, 면류, 즉석조리식품 등의 소비기한이 유통기한보다 한 달가량이나 길었습니다. 물론 포장을 뜯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된 보관기준을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이 보드게임으로! 1258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오일러가 1776년 직교라틴방진에 관한 논문을 써 가장 먼저 연구했어요. 그런데 최근 들어 우리나라의 최석정이 오일러보다 61년 먼저 연구했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조선시대에 영의정까지 올랐던 최석정은 1715년 ‘구수략’이라는 수학책에 9×9 배열로 이뤄진 직교라틴방진을 세계 최초로 만들어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우리가 용수철이라고 알고 있는 꼬불꼬불한 철은 ‘탄후앙’이라고 구별해 부르지요. 우리나라 사람들만 서양에서 만들어진 꼬불꼬불한 모양의 철을 용수철이라고 부른답니다.탄성은 어떤 물체의 모양을 바꾸었을 때 원래대로 돌아오려는 성질을 뜻해요.‘탄알 탄(彈)’의 부수가 되는 한자는 ... ...
- Part 1. 바다와 육지 사이 조간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갯바위와 같이 해변에 바위가 솟아 있는 ‘바위 해변’이지.햇빛과 파도가 괴롭히는 곳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종류의 해변들이 있어요. 모래 해변과 펄 갯벌, 그리고 바위 해변이 있죠. 해변에는 하루에 두 번 바닷물이 들어오고 나가는데, 가장 많이 들어왔을 때와 가장 많이 빠져나갔을 때 사이의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증명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백신 부작용 신고 제도가 유해성을 입증한다?우리나라는 질병관리본부를 통해 백신 이상반응을 신고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미국 CDC와 미국식품의약국(FDA)이 지원하는 백신 안전성 감시프로그램 ‘VAERS’를 운영 중이다. 1990년 이후 20만 건이 넘는 백신의 ... ...
- 치킨은 행복이다 냠냠지수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경제적 여유를 판단한다옆 나라 일본에도 냠냠지수가 있어요. 바로 ‘스시지수’입니다. 우리나라 사람이 치킨을 사랑하는 것처럼 일본인은 스시를 사랑한다고 해요. 일본의 경제 전문가 이시즈 켄타는 여기에 착안해 스시지수를 만들었어요. 상대적으로 비싼 참치와 저렴한 고등어의 소비량을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되기도 한다. 곡류를 먹고 자라는 화랑곡나방 애벌레와 성충은 쌀벌레로 불리기도 하며, 우리나라 가정집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갈색거저리는 밀웜이라고도 한다. 반려동물의 먹이나 차세대 곤충 식량의 재료로 유명하다.2014년 11월 ‘환경과학기술’에는 PE 필름을 먹는 화랑곡나방 애벌레에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위해 독성만 없는 것이 확인되면, 임상 단계를 줄이는 등의 방안을 도입하고 있다.우리나라의 국가적인 항생제 연구지원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류 센터장은 “최근에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연구비로 1년에 30억 원씩 국가에서 지원하고 있는게 전부”라면서 “이 돈으로 현재 한국의 가장 많은 ...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만든 반죽으로만 만들었을 때보다 빵이 훨씬 부드럽고 맛과 향도 풍부해진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빵을 이렇게 만드는 곳이 많아졌다. 바로 천연 발효빵이다. 이유는 프랑스의 화학자 루이 파스퇴르가 발효 과정을 밝혀내면서 명백하게 알려졌다. 전날 만들어둔 반죽에 있던 미생물들이 하룻밤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