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공"(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전극에 심은 나무, 수소에너지를 만들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부분이 햇빛을 고르게 받도록 자란다고 배웠던 것이 머릿속을 스쳐 지나갔다.현재 나노인공나무 전극의 수소에너지 변환비율은 6%대로, 10%까지 올리면 메테인을 이용하는 기존의 방식보다 저렴하게 수소를 만들 수 있다. 더구나 변환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나오는 기존 방식과는 다르게, 산소와 ... ...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만들면 16비트에 담을 수 있는 정보가 2진법의 6만 개에서 40억 개로 증가하기 때문에 인공지능을 구현하기 쉬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핀의 꿈 실현해 줄 ‘전하 가이딩’2차원 양자물질인 그래핀을 연구하는 이후종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의 실험실에서는 말로만 듣던 셀로판테이프를 이용한 ... ...
- Part 2. 태초의 음악은 어떤 꼴이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쪽으로 고개를 돌리며 양수 환경에서 익숙하게 들었던 자장가 소리에 울음을 멈췄다. 인공 젖꼭지를 더 세게 빠는 행동을 하기도 했다.최근에는 ‘신경음악치료’라는 새로운 음악치료법도 개발됐다. 음악을 듣는 사람은 몸이 갖고 있는 리듬이 일시적으로 변한다. 음악을 들으면서 손가락을 ... ...
- 알면 더 재미있는 오버워치 시크릿 노트수학동아 l2017년 04호
- 030년, 인류는 인공지능 로봇 ‘옴닉’을 만드는 데 성공한다. 뛰어난 성능을 지닌 옴닉은 곧 반란을 일으키고, 국제연합 UN은 옴닉을 무찌르기 위해 세계 곳곳에서 특별한 능력을 가진 영웅을 모아 ‘오버워치’를 결성하는데….안녕! 내 이름은 송하나. 오버워치에서 깜찍한 로봇 ‘메카’를 타고 ... ...
- 갑자기 똑똑해진 음성인식, 그 비밀은?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아리야, 오늘 날씨 어때?”“현재 서울 하늘은 흐리고 오후 늦게 비가 오겠습니다. 호우주의보가 내려졌으니 주의하세요!”아리? 아리가 누구길래 오늘 날씨를 알려주는 걸까. 아리는 SK텔레콤에서 2016년 출시한 음성인식 스피커 ‘누구’의 이름 중 하나다. 이전에도 음성인식 서비스는 여럿 있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 4화 엄마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우주선이 속도를 줄이고 있다며 가짜 수치를 보고했던 거야. 우주선 관리를 통째로 인공지능에게 맡긴 탓에 생긴 일이지. 그러자 우리의 계획은 의미를 잃었어. 생각해 봐. 가만히 있어도 멈추지 않을 텐데, 멈추지 말자고 테러를 한다는 게 말이 되나? 하지만 마고가 제멋대로 행동하고 있다는 건 ... ...
- [과학뉴스] 코뿔소는 똥으로 SNS를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난다는 것도 알아냈지요. 그리고 수컷의 대변 냄새와 배란기에 있는 암컷의 대변 냄새를 인공적으로 만들어 가짜 대변 더미에 뿌렸어요. 그리고 나서 수컷 흰코뿔소의 행동을 관찰했어요.그 결과, 수컷 흰코뿔소들은 두 냄새를 구별해서 행동했어요. 수컷의 냄새를 맡으면 침입자의 냄새로 느껴 ... ...
- [도전! 코드마스터] 이제 운전도 SW에게 맡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맞는 음악을 틀거나 가고 싶은 장소를 미리 안내해 주는 거예요. 운전석에 달린 센서와 인공지능 덕분이랍니다.앞으로 2020년까지는 300억 개가 넘는 기기와 센서가 인터넷에 연결되고, 2040년경이면 전세계 자동차의 75%가 자율주행을 할 것으로 예상돼요. 과연 SW가 바꾸는 우리의 삶은 어떤 모습일까요 ... ...
- 영국의 중심에서 수학을 외치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알 수 있었어요. 나침반과 망원경만 가지고 북극성에 의존해 항로를 개척하던 시절부터 인공위성을 통해 지구 전체를 볼 수 있는 현재까지 그 모든 기술 속에 담긴 수학을 만날 수 있어요.Form and Beauty(형태와 아름다움) 아름다움과 수학은 거리가 멀어 보이지만, 신기하게도 수많은 예술가가 수학 ... ...
- [Issue] 반려앵무새, 사이테스 신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예를 들어 문조는 사이테스 부속서Ⅱ에 해당하지만 1990년대 이후 수입이 없고, 국내 인공 증식만으로 거래되고 있어 야생에서의 포획과 밀수 우려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허 환경사무관은 “전문가의 조사와 연구를 통해 양도·양수 신고 제외 종을 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동물을 정말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