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d라이브러리
"
인공
"(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GPS에서는
인공
위성을 적어도 네 개 사용한다. 세 개는 삼변측량법에 쓰고, 나머지 하나로
인공
위성과 수신기의 시계 오차를 보정한다. 그럼에도 여러 이유로 GPS는 보통 10m 내의 오차를 보인다. 그래서 내가 스마트폰을 가만히 두어도 GPS는 폰이 움직인다고 인식한다. 게임 속 ‘나’가 이리저리 걷는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두 공주가 확률에 갇혔다!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인공
지능을 하나 더 만들기로 했습니다. 원래 있었던
인공
지능을 시리 A, 복제해 만든
인공
지능을 시리 B라고 하겠습니다. 만약 일요일 저녁에 던진 동전이 앞면이 나오면 월요일에도 이 세상에 시리는 시리 A하나밖에 없습니다. 본격적인 실험은 지금부터입니다. 동전을 던지기 전에 시리 A는 ... ...
[과학뉴스]
인공
지능이 ‘승정원일기’ 번역할까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달한다.번역 작업은 이미 번역한 영조 때 기록 약 30만 개 문장을 한문 원문과 입력해서
인공
지능을 학습시킨 뒤, 미번역 원문을 새로 입력해 번역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한국고전번역원은 45년으로 예상한 번역 기간을 18년으로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
[Future] 전자회로의 ‘미싱링크’ 멤리스터는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즉, 흘러간 전류의 양을 기억한다. 이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활용하기 적합한 특성이다.
인공
지능의 개발과 함께 뉴로모픽 칩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면서 이런 멤리스터의 성질이 다시 재조명 받기 시작했다.*배리스터: 두 개의 전극을 갖는 전자 부품. 두 단자 사이의 전압 차가 작으면 저항이 ... ...
[Future] 가장 품위 있는 죽음? 웰빙 위한 웰다잉 시대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과학기술을 통해 인류의 수명을 연장할 거라고 본다. 줄기세포로 바이오프린팅한
인공
장기나,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를 이용해 유전자를 교정해 난치병을 정복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영국과 미국에서는 미래에 되살아나 치료받기를 원하는 부유한 난치병 환자들을 사망한 지 2분 ... ...
[특별 인터뷰] 지사탐의 꼬마 파브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각시붕어를 잡아왔지요. 집에서 민물고기들을 키우며 관심도 커졌어요. 앞으로 민물고기
인공
수정에도 도전해 보려고요.”민물고기뿐만 아니라 수원 청개구리, 제비까지…. 준서는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통해 생물에 대한 관심과 탐사를 더욱 넓힐 수 있었어요.“생물을 좋아하면 누가 시키지 ... ...
[Future] ‘마음의 창’을 열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회복시키는 데 성공했다.일본 오카야마대 연구팀은 아우어렙(OUReP)이라는 새로운 방식의
인공
망막을 개발 중이다. 얇은 폴리에틸렌 필름 위에 특수한 색소를 입혀 망막 바로 아래층에 끼워 넣기만 하면 된다. 이 색소는 빛에 반응하는 특수 재질로 돼 있어서 빛이 쪼여지면 바로 아래에 있는 시신경을 ... ...
[과학뉴스] 신비한 빛기둥들이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띠는 이유는 태양이나 달빛뿐만 아니라 도시나 자동차의 불빛도 반사하기 때문이에요.
인공
조명이 반사되면 자연조명보다도 더 밝은 빛을 낸답니다. 또 얼음 결정이 클수록 선명한 빛깔을 그리죠. 이러한 빛기둥은 주로 높은 위도에 있는 노르웨이나 스웨덴 등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국가와 ... ...
[Future] 잘 팔리는 책의 비밀
인공
지능이 풀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영어의 체계가 많이 달라 미국 문화권의 이야기들보다는 정확성이 조금 떨어질 수 있다.
인공
지능을 활용해 언어와 문화에 따라 감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이것이 문학에서는 어떻게 드러나는지에 대해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때 한번 더 의뢰를 맡기면 더 정확한 분석을 ... ...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이 중 두 마리의 유전정보가 2015년에 방류한
인공
1세대와 일치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인공
적으로 키워 방류한 명태가 자연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해 살고 있음을 확인한 셈이다.앞으로는 명태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변순규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박사는 “유전적 ... ...
이전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