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계"(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길+개리=원빈?!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나타내는 것은 좌표와 행렬얼굴을 비교하려면 얼굴의 눈, 코, 입과 같은 부위의 위치를 기계가 알 수 있는 방법으로 표현해야 한다. 이 때 수학의 좌표나 행렬을 사용한다. 좌표에는 2차원 평면좌표와 3차원 공간좌표가 있다. 또행렬은 가로와 세로에 숫자나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에 ... ...
- Part 1. 패턴암호 경우의 수는 몇 개일까?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암호도 있다. 이 암호는 손가락으로 자신이 그린 그림을 암호로 쓴다. 원리는 간단하다. 기계는화면을 조밀한 모눈종이로 나눠 인식한다. 사용자가 그린 그림에 해당하는 칸을 선택하면 같은 암호로 받아들인다. 화면을 나누는 칸이 많을수록 암호의 보안성은 높아진다. 하지만 단점이 있다. 그린 ... ...
- Intro. 스티브 잡스는 수학을 좋아했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스마트폰을 만들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긴 부분은 바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들고 싶다는 것이었습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담은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평소 제가 자주 하는‘Simple is the best’란 말처럼, 스마트폰의 버튼을 최소화해 누구나 ... ...
- Part 4. 전세계 네트워크, SNS로 통한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커다란 네트워크를 이룬다. 인터넷이 컴퓨터와 전화선으로 전세계 사람들을 연결하는 기계적인 네트워크를 만들었다면, SNS는 인터넷보다 좀 더 직접적인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만든다. 따라서 SNS를 이용하면 연락이 끊긴 친구도 친구의 친구를 통해 찾을 수 있다.그렇다면 잘 ... ...
- 성격별 수학 학습법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질문하는 것에서 시작하고, 질문은 나를 돌아보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수학을 단순히 기계적이고 반복적인 문제 풀이 학문으로만 여기던 친구들이라면, 이번 기사를 통해 수학의 참의미를 생각해 보자. 그리고 내 성격을 돌아보고 그에 맞는 수학 학습법도 찾아보자. 분명 수포자를 피하는 길이 ... ...
- “정글 성큼성큼 걷는 거대로봇 만들 겁니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홍 미국 버지니아공대 기계공학과 교수(40)는 에너지가 넘쳐나는 과학자였다. 1시간에 걸친 인터뷰내내 그에게선 연구하는 게 너무 신나고 재미있다는 느낌이 뚝뚝 묻어났다.지식경제부가 9월 28일 주최한 ‘융·복합 국제 컨퍼런스 2011’에 참가하기 위해 한국을 찾은 홍 교수는 이번 방한기간에서 ... ...
- 머리에 인공지능, 가슴엔 분자엔진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대목은 있다. 당장 이 책을 교본 삼아 의식을 백업하거나 유전자처럼 복제하는 단백질 기계를 만들 수는 없다. 방법을 제시하는 책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측할 수 없는 부작용은 더 근본적인 문제다. 드렉슬러조차 “나노 기술과 인공지능은 파괴적인 최악의 도구를 출현시킬 수도 있다”고 말하고 ... ...
- PART 1. 타임머신의 탄생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근처에서 실마리를 발견하고 거기에서 보내 온 정보를 토대로 그들과 만날 수 있는 기계장치를 만들기 시작한다. 이 소설은 1997년 로버트저메키스 감독의 손으로 아주 멋진 영화로 다시 태어난다.세이건은 소설을 쓸 무렵에 외계인과 만날 수 있는 방법을 그의 오랜 친구 캘리포니아공대의 ... ...
- 1악장 - 바흐 이전의 침묵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높이는 같은 시간에 얼마나 진동하는지, 즉 주파수로 결정돼요. 지금이야 이런 주파수를 기계로 측정해 비교할 수 있지만, 당시에는 연주자가 귀로 들은 뒤 기억에 의존해 재현해야 할 경우가 많았어요. 그러다 보니 지역이나 시대에 따라 같은 음을 서로 다른 음으로 연주하는 경우도 꽤 많았지요. ... ...
- [hot science] 브레이크 없는 사막화 기후 양극화 부른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일면 천식과 기관지염 같은 호흡기 환자가 크게 늘어나고 항공기나 전자 장비처럼 정밀기계를 다루는 곳에서는 일시적으로 장애가 발생하기도 한다.그런데 최근 우리나라 황사 발생 일수가 크게 늘었다. 2000년대 이후 서울에서 연간 황사 발생 일수는 평균 12.4일로 집계됐다. 1980년대 3.9일에 비해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