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계"(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읽을 수 있다”며 “실험이 잘되면 400Mb까지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만약 기계를 쉬지 않고 돌려서 하루에 300Mb씩 읽을 수 있다면 크기가 3200Mb인 사람의 게놈을 읽는 데 불과 10일 밖에 걸리지 않는다. 지난 2001년 완성된 인간게놈프로젝트가 13년이나 걸린 것을 생각하면 엄청난 기술의 진보다. ... ...
- PART 2. 진동은 피곤해!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동력공구를 사용할 때 몸에 전해지는 충격이다. 작업장이 기계화, 자동화됨에 따라 기계적 진동이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사례가 종종 있다. 진동을 일으키는 공구는 착암기, 끌, 그라인더, 마감기, 전기톱, 해머 등이며 주로 중공업, 조선소, 자동차 등 제조업과 광산, 임업, 건설업, ... ...
- 트랜스포머 무한변신의 힘과학동아 l2011년 09호
- 핵심을 보여주겠다”며 안내한 곳은 한여름에도 16℃ 정도로 서늘한 기계실이다. 기계실에 있는 슈퍼컴퓨터에는 그래픽카드와 초고속 광섬유 케이블이 수없이 꽂혀 있었다.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털 영상으로 바꿀 수 있는 편집기도 설치됐고, 만든 영상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듀얼 모니터도 달렸다. ... ...
- 목소리 크면 주던 점수, 이젠 정밀 채점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노래방 업계에서는 1991년 4월 부산 동아대 앞 로얄전자오락실을 최초로 본다. 가라오케 기계를 개조해 번호를 눌러 노래를 선택하고, 자막을 보며 노래를 부르는 한국식 노래방을 선보였다. 이전에도 레이저디스크로 반주를 틀고 홀에서 노래를 부르는 일본식 ‘가라오케’가 있었지만 번호를 ... ...
- 게임 마니아, 발명왕에 오르다수학동아 l2011년 09호
-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발명품의 상당수는 전기를 이용해 만든 기계다.그런데 보드게임은 과학의 원리가 거의 없는 대신, 규칙을 만들기 위한 논리, 규칙성, 문제 해결과정이 모두 수학적인 사고력을 바탕으로 들어 있다. 상현 군은 남들이 잘 하지 않는 소재로 대회를 준비한 ... ...
- Part 3. 합성생물, 차세대 게놈 클럽 주인공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찾기 시작했다. 고민 끝에 그는 먹이 속에 들어있는 당으로 아르테미신을 만드는 생물기계를 만들기로 했다.연구팀은 우선 당에서 만들어진 물질끼리 붙여 탄소 수를 늘렸다. 이제 이 물질이 아르테미신으로 변하는 긴 생화학 반응이 필요했다. 연구팀은 각각의 과정을 맡는 유전자를 ... ...
- PART 1. 공진은 무서워?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없을까?공진이 다른 분야에서는 유용하게 쓰일 때가 많다. 공진의 종류도 건물을 포함한 기계적 공진 외에도 전기적 공진, 광학적 공진, 궤도 공진, 원자 공진 등 다양하다. 전기적 공진은 라디오나 TV에서 찾을 수 있다. 원하는 채널을 찾는다는 것은 방송국에서 나오는 전파의 진동수와 회로 내부의 ... ...
- 뇌 흉내 내는 컴퓨터과학동아 l2011년 09호
- 프로그램 가능한 시냅스가 있고, 다른 하나는 65,636개의 학습용 시냅스가 있다. 그러나 기계는 스스로 회로를 뗐다 붙였다 할 수 없다. 그래서 IBM은 정보의 중요성에 따라 ‘주의’를 더 기울이게 하는 방식으로 흉내를 냈다.모다 박사는 “이 프로세서를 이용한 컴퓨터는 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 ...
- 수학으로 변신한다!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오토봇은 로봇과 차 사이에서 때에 따라 원하는 모습으로 변신하는데, 기계가 다른 기계의 형태로 변신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몸체가 가진 부속품들이 적절한 위치로 정확하게 재배치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변신 로봇을 제작하기 위해 그려진 설계도는 어떤 모습일까.영화에서 등장하는 로봇들과 ... ...
- 후크송은 왜 뇌를 중독시킬까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끝나는 롤러코스터 남녀탐구생활에서 나오는 말투가 유행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런 기계적인 리듬과 말투는 호소력이나 감정이입도는 떨어지지만 중독성이 굉장히 높고 음성구조도 단순해 따라 하기도 쉽다.배명진 교수도 비슷한 설명을 했다. “후크송은 사람이 가장 편하게 즐길 수 있는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