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기
기구
장치
도구
기관
엔진
용구
d라이브러리
"
기계
"(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래시메모리, 아름답고 완벽하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크게 떨어져 노트북에서 하드디스크를 보지 못할 겁니다. 하드디스크는 매우 정밀한
기계
작업을 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읽고 쓸 때 충격을 받으면 오류가 나기 쉽습니다. 반면에 플래시메모리는 전기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충격을 받아도 아무런 문제없이 읽고 쓸 수 있습니다.”민 교수는 10여 년 ... ...
KTX와 중국 허셰, 누가 더 좋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등 건설기술만큼은 대학, 정부연구기관, 기업들이 앞다퉈 연구하고 있다. 박도영 한국
기계
연구원 도시형자기부상열차사업단장은 “고속 자기부상열차는 지금까지 개발한 도시형 자기부상열차와 달리 철도 선로 안에도 전자석을 매립해야 하는 등 한층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다”며 “초기 건설비도 ... ...
지금은 공학소녀시대!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살리는 동시에 경영 공부를 하기 위해 산업공학을 선택했다”고 당차게 답했다. 서강대
기계
공학과 권순현 씨(11학번)는 “의공학과 의료기기를 연구하고 싶어서 이 과에 왔다”면서 “학교가 가톨릭 신념으로 지어진 덕분에 장애인과 소수자를 위한 강의를 많이 들었고,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는 ... ...
아이스크림이 혀에 착 감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맛은 어떻게 만들까. 김 실장은 보여줄 게 있다며 ‘윙윙’ 시끄러운 소리를 내는 원통형
기계
로 이끌었다. 그는 “공장에서 만든 아이스크림의 식감을 가정에서는 따라하기 힘든 이유가 바로 이 ‘프리저(freezer)’ 때문”이라고 말했다.프리저라는 냉동장비는 냉각장치와 칼날로 구성돼 있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냉각장치가 필요하다. 덩치가 커질수밖에 없다.이번 호에서 황당맨이 만난 정상권 KAIST
기계
공학과 교수는 이 문제를 해결한 초전도모터를 개발하는 성과를 올렸다. 정 교수가 개발한초전도모터는 세계 최초로 극저온 냉동기를 탑재해 모터의 크기가 작다. 기존의 초전도모터는 극저온 냉동기와 ... ...
지능설계 및 그래픽스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속에서 크기와 형태를 표현한다.이 교수는 “물체를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기계
공학과 전산학이 필수”라며 “이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수학과 물리를 잘 알아야 하고 여기에 컴퓨터 프로그래밍 능력도 함께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사실적인 이미지는 실감모델링기술에 맡겨라형태가 ... ...
주삿바늘 없는 독감 백신 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넣을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얼마 전 국내에서도 바늘 없는 주사기가 나왔다. 서울대
기계
항공공학부의 여재익 교수는 레이저를 이용해 약물을 분사하는 방법을 새로 개발했다. 여 교수가 만든 ‘무통주사기’의 용기 중간에는 고무막이 있고 위쪽에는 물이, 아래에는 액체 약물이 들어 있다. ... ...
올 여름 여행에 꼭 가져가야 할 과학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이상 폴라북스)’가 그 주인공. 차례로 외계 행성을 배경으로 하는 우주 모험과
기계
문명의 미래, 그리고 핵전쟁 이후의 세계를 그리고 있다. 필립 딕 특유의 대범한 상상력과 대중적이면서도 심오한 주제가 여름밤을 잠 못 들게 한다.이제 과거로 여행을 떠나 보자. 문명과 진화의 관계를 다룬 ‘1만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마침내 고양이가 물 마시는 법에 대한 상세한 연구 결과가 실렸다. 미국 버지니아공대
기계
공학과의 정성환 교수도 저자 가운데 한 명이다.연구자들은 1초에도 수차례 나왔다 들어가는(평균 3.5회 왕복) 혀의 빠른 움직임을 포착하기 위해 고속촬영장비(초당 120~500프레임)를 이용했다. 그 결과 ... ...
“인류 최초의 비행기 복원했어요”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데는 꼬박 2년 4개월이 걸렸다. 재료나 제작방식까지 그대로 재현하기 위해 요즘 같으면
기계
로 간단히 찍어낼 수 있는 부품도 일일이 대패로 깎았다. 라이트 형제가 비행기를 제작할 때 주재료로 썼던 가문비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자라지 않아서 구하느라 두 달씩 기다리기도 했다.임 씨는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