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한국 인공태양, 1억℃에서 20초 빛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KSTAR는 초전도 자석의 자기장으로 플라스마를 진공 공간에 가두는 ‘토카막’ 장치를 이용해요. 이번에 고온의 플라스마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인공태양의 자기장 장벽인 ‘내부수송장벽’을 강화해 10초의 장벽을 넘었지요.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은 “앞으로 KSTAR가 2025년까지 1억℃를 30 ... ...
- [기획] 미래의 ‘정상 체온’이 위험에 빠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콜린 레이몬드 연구팀은 기상관측소 온도 자료와 기상모델을 이용한 압력, 온도 등의 40년치(1979~2017)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미 일부 지역에서 습구온도*가 생존 한계온도인 35℃를 넘었다고 발표했어요. 남아시아, 중동 페르시아 연안, 북미 남서부 연안에서 습구온도 35℃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균형 잡기의 달인이 되어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작용하기 때문에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그대로 균형을 유지하죠.무게중심을 이용한 장난감 중 대표적인 것이 ‘오뚝이’예요. 오뚝이는 아랫면이 둥그런 인형의 밑바닥에 무거운 추를 붙여놓은 장난감이랍니다. 무게중심이 아래에 있을수록 물체는 잘 쓰러지지 않는데, 오뚝이 바닥에 ... ...
- [특집] 후비적~, 귀지가 내 스트레스를 알려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데 필요한 시간도 적었어요. 머리카락으로는 31시간 57분이 걸렸지만, 연구팀의 장치를 이용했던 오른쪽 귀지로는 7시간 37분만에 측정했답니다.이번 연구를 이끈 안드레스 에란-비베스 박사는 “코르티솔 수치를 진단하는 데 최초로 귀지를 쓴 연구”라며 “관련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 ...
- [가상인터뷰] 더위를 견디는 낙타 털을 따라 해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4호
- 낙타 털을 모방하기 위해 하이드로겔과 에어로겔을 이용했어. 습윤밴드(젤반창고)에도 이용되는 하이드로겔은 물을 증발시켜 온도를 낮추는 소재야. 먼저, 하이드로겔은 낙타의 땀샘을 모방했어. 에어로겔은 대부분이 공기로 채워져 가볍고 단단하면서도 단열성이 우수한 소재라서, 단열 기능을 ... ...
- [2020 어과동 어워드] 데이터로 보는 2020 지사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달래기 위해 온라인으로 모였습니다! 동아사이언스 유튜브 채널과 화상회의 앱인 줌을 이용해 생물종별 강연을 4회, 라이브 방송을 1회 열어 총 5번의 만남을 가졌지요. 지사탐을 담당하고 있는 김경현 매니저는 “덕분에 기존과 달리 다양한 지역의 대원들이 더 많이 참여할 수 있었다”고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국내 처음으로 시도된 삵의 인공수정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호흡수를 유지시켜야 했거든요. 삵이 잠든 것을 확인하고, 곧 바로 작은 카메라를 이용해 뱃속을 살펴 보면서 자궁을 찾았어요. 그리고 준비된 정액을 자궁에 주입하곤 배의 작은 구멍을 봉합한 후 시술을 끝마쳤습니다. 2020년 10월 27일 16시 새끼 삵, 과연 태어날까? 원거리 정자수송에 의한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참 쉽죠~?” 오늘은 내가 밥 아저씨! 에코백 꾸미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모두 섞으면 검은색이 되지요.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잉크젯 프린터도 색의 삼원색을 이용해요.색은 섞을수록 어두워지지만, 빛은 반대로 섞을수록 밝아져요. 빛의 삼원색은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인데, 이를 모두 섞으면 흰색이 돼요. 그래서 점묘파 화가는 그림을 그릴 때 빛의 혼합을 ... ...
- [만화뉴스] 축구공? 주사위? 정답은 분자 그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분자 그릇은 거푸집 같은 틀 위에 분자들을 껴 맞추는 방식으로 만들었는데, 자기조립을 이용해 만드는 과정을 간단하게 줄인 거예요. 분자 주령구의 크기는 5.3nm(나노미터, 10-9m)로, 지금까지 보고된 분자 그릇 중 가장 커요. 기존 분자 그릇은 보통 2nm 이하였지요. 연구에 참여한 김기문 IBS 단장은 ... ...
- [현장취재] 여기 다- 모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거죠. 이어 군집 위성끼리 충돌해 우주 쓰레기가 대량으로 발생할 가능성과 밤하늘을 이용해 길을 찾는 쇠똥구리 같은 동물이 피해를 입을 가능성도 제기됐어요.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클레멘츠 교수와 주요 우주기업은 군집 위성의 부작용을 줄일 방안을 고민하고 있어요. 위성이 덜 빛나게 ... ...
이전1651661671681691701711721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