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상온에서 된다고? 떳다! 초전도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저희는 과학의 힘으로 공중부양에 도전하고 있어요. 과학자들의 로망, ‘초전도체’를 이용해서 말이죠. 그런데 문제가 하나 있어요. 초전도체는 매우 낮은 온도에서만 성능을 발휘해서 연구실이 너무 춥다는 거죠…. 네? 이제 그럴 필요가 없다고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 ...
- [기획] 상온 초전도체, 100년을 기다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작동하는 초전도체를 만들었어요. 이후 2019년, 드로즈도브 박사팀은 란타넘과 수소를 이용해서 영하 23℃로 이 기록을 경신했죠. 그리고 올해, 다이어스 교수팀이 드디어 영상의 온도에서 작동하는 초전도체를 발견한 거예요! ... ...
- [기획] 상온 초전도체, 어디에 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줄여 초전도체 응용 장비의 크기를 줄일 수 있었죠. Q 개발하신 초전도체는 어디에 이용할 수 있나요?초전도체로 모터를 만들면 강하고 가벼운 모터를 만들 수 있어요. 이를 비행기, 드론, 배 등에 장착할 수 있죠. 초전도체에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도 있어요. 원형으로 만든 초전도 코일에 ... ...
- [통합과학교과서] 눈이 부셔, 팅커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예를 들어, 깊은 바다에 사는 훔볼트오징어는 서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생체 발광을 이용해요. 몸 여러 곳에서 불빛을 뿜어 다른 개체와 대화를 하는 데 쓰는 것이죠. # 통합과학 넓히기오리너구리, 형광으로 빛난다? 세상에서 가장 특이한 동물엔 뭐가 있을까요? 분명 그중 하나로 ... ...
- [우주화장실] 어디에 앉아 볼까? 기상천외 달 화장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섞어섞어! 원심분리 화장실”-수상자 : 프란치스카 뵐커, 독일-설명 : 원심력을 이용하여 섞여 있는 물질을 성분별로 분리하는 장치를 ‘원심분리기’라고 한다. 어렵게 들리지만, 세탁기의 통이 빙글빙글 돌아가면서 빨래의 물이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바로 그 원리다. 프란치스카 뵐커는 이 ... ...
- [과학뉴스] 달 남극에서 물 분자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발표했어요. 호니볼 연구팀은 ‘적외선 천문학 성층권 천문대 망원경(SOFIA)’을 이용해 달 남반구 고위도 지역을 관측했어요. SOFIA는 성층권에 비행기를 띄워 적외선으로 천체를 관측하는 망원경이에요. 관측 결과 물 분자에서만 나오는 6㎛(마이크로미터) 파장의 적외선을 포착했답니다. 연구진은 ... ...
- [만화뉴스] 빛 입자가 수소의 전자를 스치는 순간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원자나 분자의 초고속 반응을 기록할 수 있는 ‘콜트림스(COLTRIMS) 반응 현미경’을 이용했어요. 이 현미경으로 전자와 광자가 충돌할 때 만들어지는 무늬인 간섭 패턴을 관찰했지요. 연구팀은 간섭 패턴과 수소 분자의 위치 등 콜트림스 현미경의 데이터를 활용해 광자가 수소의 전자를 차례로 ... ...
- [만화뉴스] 로봇개, 험한 길도 문제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걸을 수 있게 해주는 AI를 개발했어요. AI는 애니말의 발에 있는 센서에 들어온 정보를 이용해 땅의 높낮이나 미끄러운 정도를 추정하고 스스로 학습했어요. 연구팀은 로봇이 다니기 힘든 눈밭이나 개울, 진흙탕 등에서 1년 가까이 애니말을 시험했는데, 이 기간 동안 애니말은 카메라 없이 오로지 ... ...
- [헥!헥!핵물리학자] www는 물리학자가 개발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WLCG에는 매년 10PB 이상의 데이터가 새로 저장돼 전 세계 약 만 명에 가까운 연구자들이 이용해요. 한국의 기초과학연구원도 WLCG에 속하는 덕에 국내 연구원도 LHC에서 이뤄지는 실험에 참여할 수 있답니다. 용어정리 *쿼크 : 더이상 쪼갤 수 없는 기본 입자 중 하나. 바텀 쿼크를 포함해 6가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화려한 색깔이 나를 감싸네, 신기한 셀로판지 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인지질을 통과하지 못해요. 이때 인지질을 통과하지 못하는 물질은 ‘막단백질’을 이용해요. 막단백질은 필요한 물질만 선택해서 세포 안팎으로 물질을 들이거나 내보내는 선택적 투과가 일어나요. 특히 전기를 띠는 이온은 막단백질의 도움으로 세포 안팎을 출입하는데, 마치 막단백질의 이런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