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형태"(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거대한 원형 돌기둥은 5000년 전 천문대!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딱 맞아 떨어졌습니다. 돌기둥이 있는 지역을 반으로 나눴을 때, 각각은 완전히 반대의 형태 이루고 있었습니다. 돌기둥의 한쪽은 태양이 가장 높이 뜨는 하지에 북쪽 지평선이 남쪽 지평선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고, 가깝게 보였습니다. 나머지 반쪽은 태양이 가장 낮은 동지에 남쪽 지평선이 북쪽 ... ...
- [Editor’s Note] 성급함을 넘어서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다른지 한번 데이터로 따져보기로 했다. 최영준 기자와 우아영 기자가 연구비 지원 형태, 연구자의 공동저자 네트워크를 분석해 봤다. 또 수상자를 많이 배출한 영국과 독일 연구소를 직접 찾아가고, 정책 연구자와 노벨상 수상자들을 탐문해 대안을 물어봤다.결과? 성급함부터 버리자. 결과에 대한 ... ...
- [수학동아클리닉] 도형의 닮음을 이용한 시어핀스키 피라미드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건축물이나 중요 문화유산은 다양한 형태의 모형으로 제작된다. 정교한 모형은 실제 건축물의 구조와 디자인이 어떤지 알 수 있게 한다. 이 둘은 서로 닮은 도형이다. 자기 자신과 닮은 도형은 어떤 것이 있을까? 닮은 도형에 대한 호기심을 넓혀서 시어핀스키 피라미드를 만들어보고 그 특징을 ...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된다. 한국의 국가 R&D 예산은 대부분 응용연구나 기술 개발에 초점을 맞춘 콘트랙트 형태다. 이른바 ‘추격형 연구’에 적합한 방식이다. ‘선도형 연구’를 육성한다는 명목으로 기초연구비 지원 규모를 확대했지만, 평가 방식은 기존과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기초연구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LMB 건물은 상염색체의 모양을 형상화한 모습이다. 건물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도 같은 형태다. 일렬로 연결된 실험실들이 상염색체를 이루는 염색분체처럼 두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고,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사무실과 회의실, 휴게실이 염색분체를 묶는 동원체처럼 둘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층마다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그럴 생각은 없었지만, 기술이 빠르게 발전해서 생화학적인 육체를 벗어나 전자기 형태로 옮겨간 사람들이었죠. 그들은 우주에 필연적으로 깃들어 있는 외로움의 간격을 줄여보자고 생각했어요. 그 사람들은, 당신은 그들의 사고방식에 공감하지 못하겠지만, 확률과 숙명을 동시에 믿고, 그렇게 ... ...
-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그래서 나무 블록으로 무언가를 만드는데 한계가 있었답니다. 그런데 1958년, 새로운 형태의 블록이 등장했어요. 올록볼록한 요철이 있어서 서로 끼울 수 있는 모양의 플라스틱 블록이었지요. 이게 바로 ‘레고’랍니다. 레고엔 똑같은 크기와 모양의 요철이 있어서 여러 개를 이어 튼튼한 조형물을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 논문에서는 10마리씩의 동물만을 이용했다. 또 독성시험에 대해서는 최종 보고서 형태로 모든 결과를 기재해 종합적인 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세라리니 교수의 논문에는 일부 결과만을 기재해 종합적인 판단을 하기가 어렵다. 당시 EFSA는 세라리니 박사에게 해당 실험에 대한 전체 데이터 공개를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도움을 주고자 했다. 물론 자신도 서식처와 영양분을 제공받는 대가이긴 하지만. 이런 형태로 나타난 것이 바로 공생이었다.재레드 다이아몬드가 책 ‘총, 균, 쇠’에서 말했듯이, 항생제가 개발되기 전까지 세균(미생물의 대부분이 세균이다)은 공생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었다. 흑사병을 일으키는 ...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손목뼈 형성이 통제되지 않는다는 뜻이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지느러미와 손가락은 형태는 다르지만, 관여하는 세포와 제어 과정이 매우 비슷하다”며 “지느러미 가시가 줄어들고 연골이 정교해지는 과정을 통해 지느러미에서 손으로의 진화가 일어났을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슈빈 교수는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