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지진은 1978년
우리나라
가 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후 규모가 가장 컸다. 그전까지 가장 큰 지진이었던 1980년 평안북도 의주 지진(규모 5.3)보다도 13배 정도 강력했다. 규모는 지진으로 발생한 에너지의 양을 정의하는 단위로, 숫자가 1이 커질 때마다 에너지는 32배로 강해진다(로그 스케일).규모 5.8의 ... ...
Part 3. 바퀴 열차의 한계를 넘어라! 자기부상열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있지요. 최고시속 603km를 기록한 일본의 리니어 츄오 신칸센도 자기부상열차랍니다.
우리나라
도 최고시속 550km로 달릴 수 있는 자기부상열차 ‘수마550’을 개발하기도 했어요.자기부상열차를 뜨게 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예요. 전자석의 서로 다른 극이 당기는 힘으로 뜨는 ‘흡인식’과, 같은 ... ...
Part 5. 초고속열차로 하나 되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있답니다.실제로 일본에는 혼슈와 홋카이도를 연결하는 길이 53.9km의 해저터널이 있어요.
우리나라
에서도 충남 보령시 대천항과 원산도를 잇는 6.9km 길이의 보령 해저터널을 건설하고 있지요. 최근에는 미국 알래스카와 러시아 시베리아 사이의 85km의 베링해협을 연결하는 해저터널과 부산과 일본을 ... ...
Intro.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노벨위원회에 집중된다. 하루 한 분야씩 노벨상 수상자를 발표하기 때문이다. ‘올해는
우리나라
과학자가 노벨과학상을 탈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에, 각종 매체에 과학자들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하지만 매년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 하는 경험을 반복하고 있다.노벨상은 하나의 상징이다.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등 다양한 색의 진주가 있다”며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색은 에코그린이지만
우리나라
와 일본 등 아시아권에서는 유난히 흑진주가 인기가 많아 가장 경제성이 높다”고 말했다. 흑진주 양식 기술은 교재도 없고, 관련 논문에도 자세히 서술돼 있지 않아 기술자의 존재가 무척 중요하다. 이곳 ... ...
Part 4. 시속 1200km, 초초초고속 열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우리나라
의 ‘아음속 캡슐 트레인’ ◀ 2011년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만든 모형 튜브.
우리나라
의 한국철도기술연구원도 2009년부터 튜브 속을 달리는 열차를 개발하고 있어요. 지난 2011년에는 최고시속 750km로 튜브 속을 달리는 열차 모형을 세계 최초로 만들기도 했지요.올해부터는 속력 1000km ... ...
Part 3. 구마모토 지진으로 아소산이 폭발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흡수하기 때문”이라고 발표했어요.쓰시마-고토 지구대는 거대한 땅속 절벽으로,
우리나라
와 큐슈 사이를 정확히 반으로 가르는 바다 밑에 위치하고 있어요. 한반도에서 일본 열도가 떨어져 나갈 때 생긴 단층의 일종이지요. 이 절벽이 일본에서 오는 지진파를 흡수해, 땅의 울렁임이 한반도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경주시 남남서쪽 8.7km 지역’도 진앙의 위치였습니다.48분 만에 11배 강한 지진이!
우리나라
에 지진이 여러 차례 발생했지만 관측 사상 규모가 5.8이나 되는 지진은 처음입니다. 규모는 암석이 끊어지면서 일으키는 진동에너지의 단위입니다. 1935년에 미국의 지진학자 찰스 리히터가 동료인 베노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필터를 통과한 신호에 중력파가 있다면 흰색 파형과 같은 중력파 파형을 뽑아낼 수 있다.
우리나라
의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는 총 4명으로 이뤄진 중력파 연구팀이 있다. 연구팀은 ‘힐베르트-후앙 변환’이라는 수학 이론을 이용해 중력파와 잡음을 분류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이 방법으로 ... ...
[과학뉴스] 남해에서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 화석 세계 최초 발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우리나라
에서 세계 최초로 백악기 때 살았던 도마뱀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됐다. 지금까지 백악기에 살았던 도마뱀의 화석은 여러 번 발견됐지만, 발자국 화석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팀이 경남 남해군에 있는 ‘남해 가인리 화석산지(천연기념물 제 499호)’에서 ... ...
이전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