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수업에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바이오 해킹 소설을 쓰는 소설가 파티마, 우리나라 광주에서 영어강사로 일했던 탐, 머리가 하얗게 센 인상 좋은 할머니 아라비아등이 도착했다. 이날 참석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피펫을 한 번도 잡아 본 적이 없는 생 초짜였다. 줄리 박사는 서두르지 않고 ... ...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에서 지난 7월 1일 발간한 보고서 ‘브렉시트에 따른 과학기술계 영향과 대응’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국제협력 중 유럽과 협력하는 사업은 26.4%이고, 영국과의 사업은3.2%에 불과하다(2012년 기준). 미국이 39.4%인 것에 비하면 꽤 낮은 수치다.하지만 장용석 STEPI 글로벌정책연구센터 ...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 입국 뒤 1~2일 안에 적응해야아 모든 선수들이 신경을 곤두세우는 것이 시차일 텐데요. 우리나라와 이곳 브라질은 무려 12시간 차이가 납니다. 이것도 컨디셔닝으로 극복하나요?해 그럼요. 몸속에는 생체시계라는 것이 있는데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뇌 시상하부의 시교차상핵이라는 작은 영역이 ... ...
- [가상인터뷰] 강아지 눈에 나침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아시겠지만, 저는 푸들이에요. 머리가 좋고 공격성이 낮아 많은 사람들이 좋아한답니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크기의 ‘토이 푸들’부터 사냥개로도 쓰였던 커다란 크기의 ‘스탠다드 푸들’까지, 크기도 다양하지요.헤엄을 잘 치기 때문에 옛날에는 물에 빠진 사냥감을 주워오는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개구리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논에서 참개구리 한두 마리쯤은 잡은 기억이 생생할 거예요. 그만큼 참개구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종이에요. 저수지, 물웅덩이, 논, 하천, 산지습지 등 물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서든 잘 살아가기 때문이랍니다.참개구리는 몸이 6~10cm 정도의 크기로 두꺼비보다 조금 작아요. ... ...
- [Interview] “400년 전 조선 비행기, 불가능하지만은 않았을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기발해 다큐멘터리를 보듯 흥미롭다. 예를 들어 하늘을 날 수 있는 날개에 대한 힌트는 우리나라 전통배의 돛에서 얻는다. 마주 오는 바람이 불 때 돛을 풍향에 수평하게 돌리고 활대를 둥글게 만드는 운항법을 보고(비행기 날개가 양력을 얻는 방식과 비슷하다) 항공기 날개를 복원하는 식이다. 책 ...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마치 날카로운 갈퀴가 파고 내려간 듯한 산사태 흔적이 남아 있었다. 채 센터장은 “우리나라 산사태는 폭이 5~10m 정도로 좁은 편인데, 토층의 발달 상태와 경사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며 “지리산은 태풍이 지나가는 길목인데다 급경사지가 많아 특히 좁고 긴 형태로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 ...
- [Tech & Fun] 스위스 폴쉐르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잘 알려진 시설은 SLS입니다(위 사진 오른쪽에 보이는 원형 시설). 규모나 원리 면에서 우리나라 포항가속기연구소에 있는 3세대 방사광가속기와 굉장히 유사한데요. 둘레가 288m인 거대한 고리 모양 구조물 안에서(포항 가속기는 둘레가 280m) 전자가 빛에 가까운 속도로 돌면서 방향을 바꿀 때 ... ...
- [Career]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날이 올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해당되는 말일 것 같은데요. 문제를 ‘만들어’ 가는 능력을 키우길 바랍니다. 우리나라의 교육 특성상 학생들이 문제를 푸는 데에만 너무 익숙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연구는 의미 있는 문제를 만드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그래서 끊임없이 호기심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소한 일에도 ... ...
- Part 2. 인공지능 키워드 1. 빅데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176개의 GPU(그래픽연산장치)가 연결돼 1초에 30조 개에 달하는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어요. 우리나라에 있는 슈퍼컴퓨터의 약 5배에 달하는 성능이지요.이런 성능 덕분에 알파고는 16만 개 기보뿐만 아니라 자신이 대국한 결과들도 모두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어요. 또 바둑판에 놓인 돌의 위치를 ... ...
이전1851861871881891901911921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