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부른다. 보통 박사급연구자는 한정된 연구책임자(PI) 자리를 놓고 경쟁한다.
우리나라
에선 연구책임자와 그렇지 않은 연구자 사이에 간극이 너무 크다. 일반 기업의 정규직-비정규직에 비할 정도로 임금과 대우가 양극화 돼 있다.선진국에선 박사급연구자가 연구책임자가 되지 않아도 비교적 안정된 ... ...
[Knowledge]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KIOST는 이를 극복할 새로운 과학조사선을 건조했다. 배 이름도 우산국(지금의 울릉도)을
우리나라
역사에 최초로 편입시킨 신라 장군 이사부의 이름을 본떴다. 더 멀고 큰 바다로 진출하겠다는 의지다. 배뿐만 아니라 장비도 거대해졌다. 배 우측에 쌓아 놓은 원통형 자이언트 피스톤 코어는 길이가 ... ...
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것인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1인당 15사례, 최소한의 서비스 제공은 50사례가 적당하다(doi:10.1093/sw/47.2.132). 이에 비하면
우리나라
는 인력이 심각할 정도로 모자라다. 그 결과 아이들에 대한 사후관리도 쉽지 않다. 아동학대를 막고 적절한 조치를 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관심과 복지예산 증대가 선행돼야 한다.“아동학대 신고 누적 ... ...
[과학뉴스] 미국지진학회지(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지진에서 발생한 에너지의 크기, 진도는 지진이 영향을 미친 지역의 피해 정도를 말한다.
우리나라
를 비롯해 세계적으로 ‘리히터 규모’와 ‘수정 메르칼리 진도’ 척도를 가장 많이 쓴다.두 척도는 모두 1930년대 미국지진학회지를 통해 발표됐다. 여기엔 아픈 사연이 있다. 1906년 4월, 미국 ... ...
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연구교수는 “한 분야를 꾸준히 연구하는 사람이 사라졌다”고 말했다. “
우리나라
이론물리학계는 미국의 명문대에서 만든 유행을 쫓아가기 바쁩니다. 그런데 유행이란 게 사실 돌고 돕니다. 과학자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독립적인 연구를 하도록 지원하는 일본을 보세요. 어떤 세부 분야라도 최소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바이오업체 ‘안테이아’에서 합성효모의 테바인 생산 수율을 높이는 연구를 하고 있다.
우리나라
에서는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가 항암이나 항노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플라보노이드를 생산하는 미생물 연구를 하고 있다. 이 교수는 “천연물을 생산하는 미생물 연구도 많이 되고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우리나라
에서도 전북경찰청을 중심으로 사후경과시간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장차
우리나라
기후와 생태 환경에 최적화된 사후경과시간 추정 모델을 구축하는 데 이 연구가 밑거름이 될 거라 생각한다. 제2, 제3의 유병언 사건이 발생했을 때 사후경과시간과 관련해 무의미한 논쟁이 사라질 수 ... ...
[숲이야기] 두 생물이 합쳐 강해진 지의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빵과 샐러드를 만드는 데 쓰이기도 해요. 특히 전쟁 중에는 중요한 식량이었지요.
우리나라
에서도 지의류를 약용으로 사용해요. 지의류 속 곰팡이가 합성하는 여러 물질들이 우리 몸에 도움을 주거든요.지의류는 강한 자외선에도 성장하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제의 재료로 쓰이기도 해요. 또 ... ...
Interview. 합성생물 디자인대회 ‘아이젬(iGEM)’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교수는 2009년부터 매년 학생들과 함께 아이젬에 작품을 출품하고 있다. 합성생물학을
우리나라
에도 알리자는 목표로 시작했다는 최 교수와 지난해 아이젬에 참가했던 세 명의 학부생과 이야기를 나눠봤다. 최지원 기자(이하 지원) 현재 국내에서 아이젬에 참가하는 팀은 고려대의 ‘코리아유서울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국내 최대 과학분야 웹사이트 중 하나인 ‘브릭(BRIC)’이 5월로 서비스 개시 20주년을 맞았다. 브릭은 2005년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줄기세포 논문 ... 논리를 펼치고, 깊이 있고 진지한 토론을 펼치고 싶은 욕구가 과학자들에게 있는 거죠.
우리나라
에도 그런 사이트가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 ...
이전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