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인터뷰]“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열혈 탐사팀 프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함께 참가해 보는 게 어떻겠냐고 제안하셨어요. 이 대회는 초·중·고등학생들이 우리나라 생태에 더 관심을 갖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대회로 2014년에 시작됐죠. 그런데 2015년, 평소에 재윤이와 제가 관심을 갖고 있던 ‘꿀벌탐구’가 추가된 거예요. 그래서 이번 기회에 궁금했던 ‘정원화엔 왜 ... ...
- [News & Issue] “내 아를 낳아도” 육식공룡 구애 흔적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발자국처럼 생태와 습성이 기록된 화석을 말한다. 임 연구관은 “공룡 발자국이 많은 우리나라 남해안의 공룡화석산지를 2009년 유네스코 세계 자연유산에 등재 신청했다가, 국제 비교연구 부족으로 신청을 철회했다”며 “유럽과 남아메리카의 흔적화석을 연구한 뒤에는 남해안 화석산지의 학술적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했었다.삼중수소를 만드는 또 다른 방법은 중수로 원자력 발전시설을 이용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부터 경북 경주의 월성원전에서 중수를 활용해 산업용 삼중수소를 자체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에는 아직까지 중수로가 없다. 평안북도 영변의 흑연감속로를 중수로로 바꾸는 방법이 ... ...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조선대 의학전문대학원 법의학교실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수중시체를 가장 많이 검시한 법의학자 중 한 명이다. 그는 1998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입사해 법의학과장, 서부분소장을 거쳐 2009년 퇴임할 때까지 10년 넘게 검시를 했다. 그동안 호남(전북, 전남, 광주) 일대에서 발생한 수중시체는 대부분 ... ...
- 프로젝트 2 물가는 얼마나 오를까?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일반적으로 물가 안정이란 물가 수준이 2% 근처에서 움직이는 경우를 말한다.그래서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은 ‘물가안정목표제’라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사람들에게 물가 상승률 목표를 미리 제시해, 물가 상승률에 대한 기대를 하나로 통일시키는 게 목적이다. 실제로 지난 12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드디어 기숙사 입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인식을 뒤엎는 놀라운 결과가 있어요. 환경부와 서울대 산업협력단의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표토가 약 26조 4000억 원의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됐어요. 유기물과 미생물이 풍부한 표토는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거든요.양분을 제공하고 오염 물질을 정화시키고, 탄소와 물을 ... ...
- [News & Issue]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진출한다는 겁니다. 그래서 책 몇 권 보고 무작정 증권회사에 도전했죠. 마침 1996년에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선물 시장이 열려서, 증권가에서 이공계생을 뽑기 시작할 때였습니다. 아마 우리학과 출신 중에 선물 거래에 뛰어든 건 제가 처음일 겁니다.”_이민호 쿼크투자자문 공동대표(선물 거래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단청 퍼즐 속 수학 찾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모자이크나 화장실 바닥과 벽에 깔린 타일도 쪽매맞춤의 예로 들 수 있다.단청 퍼즐로 우리나라 전통문양의 아름다움도 느끼고 생활 속에서 쓰이는 수학의 원리도 알 수 있다. 이제 단청 퍼즐을 하며 전통 문양 속 수학을 찾아보자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조각인 ‘익공’을 기둥 사이를 잇는 창방과 수직으로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정전에서는 우리나라 고유의 익공식 다포를 볼 수 있습니다.못 없이 조립하는 공포그럼 공포는 어떻게 연결할까요? 공포는 못을 박지 않고 나무를 짜 맞춰 연결합니다. 기둥과 공포, 창방, 대들보와 같은 부재에 홈을 내 ... ...
- [새 책]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저자는 밤낮으로 찾아 다니며 생태와 습성을 기록했다.그의 연구가 더욱 특별한 건, 우리나라 고유종이자 멸종위기종인 수원청개구리를 기록하는 데 시민들이 한몫했기 때문이다. 저자는 2012년부터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시민참여과학 프로젝트인 ‘지구사랑탐사대’ 대장으로 활동하고 ... ...
이전1931941951961971981992002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