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누가 이 고요한 마음에 다시 불을 지피는가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49.8%, 반대 50.2%로 입안이 무산되긴 했지만, 계획은 고사하고 세수의 사용처조차 불분명한
우리나라
와는 극명한 차이를 보인다. 담뱃값 인상 목적이 진정 국민건강증진이었다면, 금연의지를 지켜 줄 환경을 확실하게 만들어줘야 하는 것 아닌가. 울화가 치밀어 올라 또 한 대가 생각나는 밤이다 ... ...
[쇼킹 사이언스]눈이 두루마리처럼 둘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그뒤 바람이 두루마리 눈을 또 굴리면 바깥면에 새로운 눈 층이 잘 붙을 수 있답니다.
우리나라
에선 이렇게 까다로운 조건이 모두 맞아떨어지기 어려워요. 그래서 두루마리 눈을 관찰하기 어렵지요. 하지만 미국 북부 지역이나 캐나다, 북유럽에서는 이 세 조건이 완벽하게 맞는 때가 있어 종종 볼 수 ... ...
외국 기자가 본 환태평양 지역의 산업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여러 수학자의 도움으로 좀도둑이행동하는 패턴을 분석할 수 있었습니다.그렇다면
우리나라
에서 산업수학은 어떨까요? 일본이나 뉴질랜드에 비하면 아직까지 걸음마 단계입니다. 노마일 특파원은 한국에서는 특히 스타트업 회사에서 기술을 발굴하는 데 수학을 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
[수학동아클리닉]사라진 어진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후손, 보물을 잃다
우리나라
의 긴 역사 속에는 수많은 왕이 있습니다. 왕의 진짜 모습은 임금의 초상화인 어진(御眞)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수십여 곳에 나눠 보관할 만큼 어진의 수와 종류가 많았습니다.어진은 나라와 운명을 함께 했습니다. 임진왜란으로 ... ...
[News & Issue]초신성의 새로운 폭발 원리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우리나라
과학자가 우주 팽창 연구에 사용되는 제1a형 초신성의 새로운 폭발 원리를 제시했다.임명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팀은 백색왜성과 보통 별의 상호작용에 의해 폭발한 제1a형 초신성을 세계 최초로 관측해 ‘천체물리학저널증보’ 2015년 11월 20일자에 발표했다.제1a형 초신성은 쌍으로 ... ...
[Tech & Fun]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➊명탐정 코난의 제트 코스터 살인사건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피해자의 거리는 최소 1.4m입니다. 범인은 여성이고요. 국립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3년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 키는 156.9cm입니다. 157cm로 계산해도 여유 길이가 17cm 정도입니다. 더군다나 이건 직선 거리를 따졌을 때니까 정말 17cm가 남으려면 범인이 완전히 안전 장치에서 벗어나 일자로, 즉 뒤에 ... ...
대기와 태양이 만드는 변화무쌍 날씨와 계절!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4호
있지요. 이 때문에 태양과의 위치에 따라 각 위도별로 받는 태양빛의 양이 달라진답니다.
우리나라
같은 중위도 지역의 경우 봄과 가을에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져요. 하루의 절반은 태양빛을 받고, 나머지 절반은 어둠 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여름에는 태양빛을 받는 시간이 훨씬 ... ...
우주날씨의 비밀을 밝혀라~! 오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3호
수 있어요. 오로라대가 아주 조금 저위도로 내려오거든요. 그 결과 중위도 지역에 속하는
우리나라
에서도 초록색 오로라보다 높은 곳에 생기는 빨간색 오로라를 볼 수 있답니다.어허~! 거참 신통방통 하구먼. 저 비단 모양을 보고 우주 날씨까지 알아낼 수 있다니! 지금까지 적기를 보고는 재앙이 ... ...
그것이 알고 싶다! 소시지는 발암물질?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3호
있어요. 식품의 약품안전처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가공육 섭취량이 두드러지게 늘고 있다고 밝혀졌거든요. 10~19세 남성이 먹는 가공육의 양이 2010년 하루 평균 12.6g이었다가 2013년이 되면서 18.2g으로 증가했어요. 또 10~19세 여성도 같은 ... ...
동물행동학자의 기록일지 잘 가! 반달가슴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3호
하는 방법을 ‘연방사’라 한다.2004년에 시작한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은 불과 11년만에
우리나라
의 대표적이고 성공적인 복원사업이 됐다. 이번에 방사된 2마리의 곰이 야생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면 지리산 국립공원 안에는 38마리의 반달가슴곰이 살게 된다.새끼 곰들은 과연 지리산 야생에서의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