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설치하지 않는다. 그 결과 대기 중 악취물질의 농도가 0.5ppm 정도로 낮게 유지된다. 우리나라도 하수도관 시스템을 분류식으로 바꾸면 정화조를 없앨 수 있다.하지만 서울시의 모든 하수도관을 분류식 시스템으로 바꾸려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들어간다. 그래서 고안된 기술이 정화조에 황산화세균 ... ...
- [Career] 소리까지 듣는 피부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아직 부품의 70~8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요. 원천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우리나라를 이끌어갈 사물인터넷이나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에는 거의 모든 분야에 센서가 필요해요. 자부심도 느끼지만, 하루빨리 센서를 연구하는 분들이 더 많아져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 ...
- [수학뉴스] 대한민국이 키우는 문제 해결사, 산업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수학적 이론과 분석방법을 이용해 산업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산업수학’은 우리나라에서는 이제 막 걸음마를 뗀 수준이에요. 반면 미국, 독일, 영국 등의 선진국은 이미 산업수학 전문연구기관을 세워 산업수학을 적극 활용하고 있어요.정부는 앞으로 기업과 대학, 연구소가 원활하게 ...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종목을 준비하는 선수들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받고 있다.우리나라는 스키 코치가 부족해 선수 개개인의 특징에 맞춰 훈련을 하기 어렵다. 한국체육대가 총괄하고 KAIST가 공동으로 연구에 참여하는 동계스포츠 과학화 기반조성 융합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데이터와 분석 ...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경우 항공기를 이용해 수년 동안 같은 지역의 대기 질을 조사하기도 한다”며 “우리나라도 이번 한 번으로 끝나지 않고 연구용 항공기를 확충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꾸준히 연구를 이어나가면 좋겠다”고 말했다.KORUS-AQ는 바다에서도 동시에 진행된다. 국립기상과학원의 기상1호와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초부터 화장품 동물실험을 금지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2013년부터는 전면 금지했다. 우리나라 국회도 지난해 12월 31일 화장품 동물실험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올해 2월 3일부터 국내에서 시판되는 모든 화장품은 개발 과정에서 동물실험을 금지하고 있다.토끼 대신 사람 세포 배양해 ... ...
- Part 3 스마트폰 해킹, 막아낼 방패는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더 활발해질 것이다. 해킹팀의 내부정보 유출로 열린 판도라의 상자에 대해 이제는 우리나라도 본격적인 고민을 시작해야 할 때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당신의 스마트폰은 안전합니까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Part 3 스마트폰 해킹,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다(남한 면적의 10배). 이런 우주범선을 기대한 건 아니지만 지난 3월, 충남대에서 만난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CNU세일-1은 생각보다 매우 아담했다(옆에 놓인 CNU세일-1을 보고도 한참 찾았다). CNU세일-1은 가로세로 각각 10cm에 높이는 약 30cm인 큐브샛 형태를 하고 있다. 무게는 4kg. 돛의 면적은 가정용 ... ...
- [Tech & Fun] 국제원자력기구 환경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먹을 것을 빼놓을 수 없겠죠. 푸른 바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해산물을 기대하는데, 우리나라에서 먹던 것과 비교해 맛은 조금 떨어지고, 가격은 상당히 비싸다는 게 가본 분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굴 한 개 가격이 2000~3000원…. 지중해로 유입되던 나일강 강물이 댐으로 가로막히는 바람에 바다가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라이고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세계 13개국 과학자 1000명 이상이 참여한 프로젝트예요. 우리나라 과학자들은 라이고가 관측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했답니다.역시 과학의 힘은 놀라워~! 100년 전 중력파는 그저 내가 주장한 하나의 개념이었어. 하지만 지금은 실제로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