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은하와 은하가 맞부딪친다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관측한 결과, 전파원이 있는 위치에서 은하가 충돌한 것처럼 보이는 18등급의
천체
를 발견했다.그 당시 전파은하 Cyg A의 발견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첫째로 Cyg A는 가장 강한 전파원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광학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최대한의 거리인 11억광년 거리에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태양과 시리우스는 매년 여름 매우 더운 시기에 가장 근접하게 된다. 중세동안 이 두
천체
의 만남은 폭염을 만드는 것으로 믿어졌다.1834년과 1844년에 베셀(Friedrich W.Bessel)은 6.25인치 굴절 망원경을 이용하여 시리우스의 고유운동이 파형을 이룬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리고 그후 1862년 1월 31일 클라크 ... ...
별자리, 왜 계절에 따라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그러나 지평 좌표계는 특정 시간에만 유효하다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다. 왜냐하면 모든
천체
는 시간이 조금만 지나도 이미 그 자리에 더 이상 머무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평 좌표계는 실제로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천구의 극과 적도/천구반지름은 무한대천구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또 ... ...
태양계 10번째 행성은 없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하이드라 사이에 있는 것으로 추정됐고 해링튼은 뉴질랜드 블랙 버치에 있는
천체
망원경을 사용해 이 지역을 집중적으로 관찰해왔다. 그러나 그 자신도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결국 해링튼도 최근에는 행성X가 천왕성의 부스러기일지 모른다는 가능성을 조심스레 얘기하곤 했다.런던 ... ...
무등천문대세워「별사랑 꿈」펼치자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천문서클을 만들었다. 한학년당 20명씩 모집해 매달 모임을 갖고 3개월에 한번씩은 성암
천체
관측소를 찾아 본격적인 관측을 시행했다. 그런데 이 서클을 운영한 이후 능주고등학교의 대학진학률이 월등히 높아지기 시작한 것. 특히 천문서클에서 활동한 학생들은 그 전에는 엄두도 못낸 명문대학에 ... ...
밤하늘은
천체
교육의 산 교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전국 각지의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에 재직하는 천문학자들은 학생 지도과정에서
천체
관측에 점점 더 큰 비중을 할애하고 있고, 교과서도 그러한 방향으로 개편돼 가고 있다. 이는 실험실습에 기반을 둔 과학 교육이 강조되는 현 시류와도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따라서 앞으로는 입시 문제에서도 ... ...
내일의 우주인 꿈키워주는 일본 「스페이스 캠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스페이스센터를 모방한 것으로, 우주왕복선은 디스커버리호, 그 임무는 수명을 다한
천체
관측망원경의 전지 교체작업으로 설정돼 있다.현재 셔틀미션은 국민학교 고학년생을 대상으로 하는 주니어코스와 중고등학생이상 일반인까지를 포괄하는 아카데미코스로 나뉘어 있는데 아카데미 코스만 ... ...
왜 소행성들을 관찰하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보편적으로 반사되는 빛의 차이는 소행성들이 공전하기 때문이며(우리가 아는 모든
천체
들은 공전한다) 다른 곳에 비해 보다 밝게 보이는 지점이 있다고 믿어진다.이러한 유형의 관찰은 소행성들이 얼마나 빨리 공전하고 있는지를 밝혀준다.우리는 어떤 소행성들은 다른 소행성들보다 상대적으로 ... ...
12월21일 월식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그 두려움은 일식에 비해 적었을 것이다. 눈으로 쉽게 볼 수 있는 현상이기에 요즘은
천체
관측에 문외한인 사람들에게도 우주의 신비를 느끼게 하는 좋은 볼거리를 제공한다.월식은 태양빛을 지구가 가려 지구의 뒷쪽에 드리워진 그림자속을 달이 지나가는 현상이다. 그 지나는 그림자의 부분에 ... ...
우애 깊은 히아데스 형제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Lord Rosse)가 그 모습이 게의 집게발을 닮았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천문학자들은 이
천체
를 M1이라고도 부르는데 이것은 프랑스의 샤를 메시에(Charle Messier)가 정리한 성운성단 목록의 첫번째 대상이기 때문이다.게성운은 황소의 뿔 사이에 있는데 제타별에서 약1도 정도 떨어져 보이며 지구로부터 ... ...
이전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