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그러나 이 경우 질문 자체가 완전히 틀렸다고 할 수 있다. 원래 별이란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
'만을 가리킨다. 따라서 위의 '별'은 '행성'이라고 고쳐 물어야 옳은 것이다. 밤하늘에서 눈에 잘 띄는 화성도 역시 붉게 보이는 별이 아니라 행성이라고 표현해야만 옳은 것이다.이와 같은 예를 몇개 더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너무 희미해서 그들이 우리 은하의 별들이 될 수 없었다. 그 당시까지 M31과 그런 유의
천체
들은 우리 은하 내에 있는 나선형의 성운으로 생각됐다. 이제 우리는 우리 은하가 셀수 없이 무수한 은하로 가득찬 우주의 단지 한 은하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M31은 커다란 망원경으로도 그 각각의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아니라 망원경의 구조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아마 21세기 중엽에 이르면
천체
망원경 부품의 대부분은 달에서 직접 충당하게 될 것이다.물론 달에 천문대를 세우는데에는 간과할 수 없는 어려움도 있다. 우선 달에는 대기가 없기 때문에 외계에서 진입하는 유성이 타지 않고 그대로 월면을 ... ...
유인탐사를 위한 전초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계속될 것이 틀림없다. 어쩌면 이 기간중에 태양계 탄생의 비밀이 밝혀지거나 다른
천체
에서 생명체가 발견될 수도 있다. 또한 21세기 초에 있을 행성들의 유인탐사계획의 기반이 1990년대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우주의 신비를 밝히려는 인간의 노력은 오늘도 계속되고 있다 ... ...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신비로움까지 느낄 수 있다.달은 백도를 따라 이동하며 사람들의 관측방향에서 많은
천체
들과 식을 일으키거나 랑데부를 하기도 한다. 특히 행성들이 태양과 가까이 보이는 위치일 경우 해가 지고난 저녁 서쪽 하늘이나 동트기전 새벽 동쪽 하늘에서 멋진 랑데부를 벌이게 된다. 이것 또한 일몰 ... ...
달의 어제 오늘 내일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휘영청 달 밝은 한가위의 달이다. 이미 옥토끼가 사는 달세계는 사라진지 오래고 분화구와 메마른 암석으로 뒤덮인
천체
지만 우주개발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첫관문이다. 우주전진기지로 새로이 각광받고 있는 '달'을 재조명해보자. ...
(1) 3백85㎏의 월석이 밝혀준 사실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45, 6년 전 태양계가 탄생하면서 지구도 만들어지고 달 또한 고체상태의 미소
천체
가 모여서 형성됐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에도 허점은 많다. 형제설이 맞다면 구성물질이 지구와 같아야 할텐데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특히 아폴로가 가져온 월석을 분석해보면 이리듐이나 토륨 등 철에 녹기 쉬운 ... ...
아인슈타인의 4차원을 넘어서 5차원 세계로의 초대 칼루자-클라인이론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개기일식이 서부 아프리카 일대에서 일어난 날이었다.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유명한
천체
물리학자 에딩턴경(Sir Eddington) 일행이 관측에 나섰다.놀랍게도 일반상대성이론이 예언한대로 별의 위치가 휘어져서 나타났다. 이 일이 세상에 알려지면서 아인슈타인은 일약 전세계적인 과학자가 되었다. ... ...
거대한 숨은 그림찾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연구된 결과 이 곳에서 방사되는 X-레이의 강도는 초당 수천 번의 '깜박임'으로 밝혀졌다.
천체
가 이런 속도로 깜박이기 위해서는 지름이 3백20㎞보다 작아야 한다. 1971년 전파 천문학자들은 백조자리 X-1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밝혀냈다. 그것은 9등급의 청색 거성 HDE 226868과 일치하는 곳이었다. ... ...
조각가 김오성씨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때문이다. "사진을 찍다보면 직관력이 약해질 것 같아 주저하고 있습니다. 처음과는 달리
천체
를 보는 시각이 점점 이론적으로 변하는 것이 두렵습니다. 사진속에 빠지면 이런 추세가 가속화되겠지요. 하지만 애매한 미화보다는 사실을 사실대로 보는 것이 중요하겠지요." 김씨의 말속에는 월척을 ... ...
이전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