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하와이의 대형망원경 맹활약 기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천문대 등에 대형망원경들이 여섯개나 설치돼 있는데, 그만큼 이 지역의 대기가
천체
관측에 적격이기 때문이다. 천문학자들은 이처럼 '축복받은 땅'에서 개기일식을 관측한다는 것은 커다란 행운이며 수백년 이내에 다시는 이런 행운이 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를 반영, 이 지역의 천문대는 8 ... ...
우주공간의 무충돌 충격파 연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발견됐다. 최근에는 태양면의 플레어, 초신성폭발 등에서도 충격파가 발생하면서
천체
물리학자들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우주공간에서의 충격파 연구가 진전된다면 그동안 벽에 부딪쳐 별진전이 없었던 우주환경 연구에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예상된다 ... ...
천왕성 Uranus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이 물질들은 어쩌면 토성 주위를 돌던 작은 위성이 지구 크기의
천체
와 충돌을 일으켜서 부서져 생긴 것으로 믿고 있다. 15개의 위성들 천왕성에는 다섯개의 위성이 있는 것으로 오랫동안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1986년 보이저 2호가 10개의 작은 위성을 새로 발견해 위성 수는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다음 꼭지 망원경활용법(초여름의 구상성단)에서 자세히 다룬다.성단밤하늘에 보이는
천체
들 중에는 간혹 구름처럼 흐릿하게 보이는 대상이 있다. 이들은 대부분 성운(nobula)과 성단(cluster)으로 불리고 있는데 이 두가지는 겉보기에는 비슷해도 실제에 있어서는 매우 다른 모습을 하고 있 다. 이 ... ...
타임머신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배제할 수 없다. 이런 별에서 일어나는 일은 비슷한, 그러나 나아가 우리 지구와 다른
천체
를 찾아내 그 곳을 여행함으로써 우리의 시간 여행에 대한 욕구를 어느 정도 만족시킬 수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이런 여행도 가까운 장래에 가능할 것 같지는 않다. 또한 이런 별로의 여행이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자연철학에서 벗어나 물리학 화학 생물학등으로 구별 정립되기 시작한 것은 뉴턴의
천체
물리학이 완성되던 과학혁명을 거치면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스러운 운동'으로 탄생한 역학은 뉴턴의 만유인력개념과 운동에 관한 3법칙의 정립으로 비로소 근대역학으로 전환된다.뉴턴이 근대역학에서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만약 태양보다 훨씬 무거운 공과 같은
천체
가 지구와 먼 은하 사이에 있고 이 세개의
천체
가 완전한 기하학적 대칭성을 이룬다면 은하의 모습이 어떻게 보일 것인가를 예측해 보았다. 그는 먼 은하에서 오는 빛은 중간에 위치한
천체
(은하나 은하들의 집단)의 중력 때문에(실험실 속의 렌즈실험처럼) ... ...
아인슈타인은 역시 옳았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혹은 인력은 우리가 아는 모든 힘중에서 가장 약한 것이다. 우리는 인력의 존재를 거대한
천체
들과 연관시켜 잘 알고 있다. 예를 들어 지구는 각 입자들의 조그마한 인력이 모아져 하나의 지구로 뭉쳐지는 거대한 힘을 발휘한다. 그러나 우리가 개개의 입자들이나 소수의 입자 덩어리를 생각할 땐 ...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다해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서 만들었다. 혼을 불어 넣는다이때부터 김씨는 본격적으로
천체
관측도 시작했다. 이전에는 단순히 망원경을 판매하는 장사치였지만, 이때부터는 아마추어천문가로서 본격 입문을 한 셈. 4, 5년전부터는 고객이자 제자들인 아마추어 천문가들을 따라 도시락을 싸들고 ... ...
왜 밤하늘은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백년 가까이 천문학자들을 난처하게 만들어 왔던 문제를 온타리오에 있는 워털루대학의
천체
물리학자 폴 웨슨은 해결한 것일까?지난 1826년에 독일의 천문학자인 하인리히 올버스는 만약 하늘에 무한한 수의 별들이 존재한다면 어느 방향으로 쳐다보더라도 별 하나쯤은 볼 수 있어야 하지 않느냐는 ... ...
이전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다음
공지사항